중국 온라인-모바일 기업, 글로벌시장 진출 박차

입력 2014-07-22 10: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알리바바, 해외 입점 고객 확보 위해 계약 잇따라 맺어…텐센트ㆍ바이두, 마케팅 등 활동 강화

알리바바와 텐센트 등 중국 온라인-모바일 기업들이 글로벌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는 지난 수개월 간 프랑스와 호주, 싱가포르, 이탈리아 등 세계 곳곳에서 현지 정부나 물류서비스 제공업체 등과 계약을 맺었다.

이는 중국을 넘어 해외에서 자사의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입점할 고객 확보를 위한 움직임이다.

알리바바의 잭 마 회장은 지난 5월 프랑스의 로랑 파비우스 외무장관이 중국을 방문했을 당시 협력협정을 맺었다. 앞으로 3년간 알리바바가 프랑스 기업들의 자사 플랫폼 등록과정을 가속화하고 이들의 요구에 맞춘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프로모션을 강화하는 것이 골자다.

또 회사는 5월 싱가포르포스트 일부 지분을 약 2억5000만 달러(약 2570억원)에 사들였으며 같은 달 호주우체국과 팀을 이뤄 호주 상인들이 알리바바에 진출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6월에는 알리바바 자회사인 ‘11메인’을 런칭시켜 미국 전자상거래시장에 진출했다. 가장 최근인 지난 18일(현지시간)에는 브라질 국영 우편회사 코헤이오스와 물류협력협정을 체결했다.

모바일 메시징 응용프로그램(앱) ‘위챗(WeChat)’과 게임 ‘리그오브레전드(LOL)’를 보유한 텐센트는 해외의 유망한 게임을 자국에 들이기 위해 투자에 열을 올리고 있다.

텐센트는 지난 5월 인기 모바일 게임 ‘캔디크러쉬사가’ 개발사인 킹디지털엔터테인먼트로부터 이 게임의 중국어 버전 판매권을 사들였다.

한편 게임과 더불어 양대 핵심 사업인 위챗의 해외시장 진출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지난 1월에는 구글과 연계해 미국에서 친구 추천 시 기프트카드를 증정하는 공격적인 프로모션을 펼쳤다. 텐센트는 지난해 위챗의 해외 마케팅ㆍ홍보비로 2억 달러를 쏟아부은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최대 인터넷 검색업체 바이두는 알리바바, 텐센트에 비해 해외시장 공략이 미진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바이두도 지난 17일 포르투갈어 서비스를 시작하는 등 다시 공략에 나섰다. 이는 브라질시장을 노린 것이다. 회사는 브라질에 빅데이터와 사용자환경, 모바일 기술 등을 연구하는 연구ㆍ개발(R&D)센터도 설립하기로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한은 금통위, 2회 연속 인하·부총재 소수의견·1%대 성장 전망 ‘이변 속출’ [종합]
  • ‘900원 vs 150만 원’…군인 월급 격세지감 [그래픽 스토리]
  • ‘고강도 쇄신’ 롯데그룹, CEO 21명 교체…신유열 전무 부사장 승진 [2025 롯데 인사]
  • "출근해야 하는데" 발만 동동…일단락된 '11월 폭설', 끝이 아니다? [이슈크래커]
  • 원·달러 환율, 기준금리 ‘깜짝 인하’에도 오히려 하락
  • 단독 론칭 1년 만에 거래액 1억弗 달성 ‘트롤리고’…내년부터 원화 결제 추진
  • '리플 커플링' 스텔라루멘, 2주간 280% 상승…전고점 뚫나
  • 정몽규, 축구협회장 4선 노린다…허정무와 경선
  • 오늘의 상승종목

  • 11.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131,000
    • -0.2%
    • 이더리움
    • 4,990,000
    • -2.54%
    • 비트코인 캐시
    • 713,500
    • -1.59%
    • 리플
    • 2,114
    • +3.02%
    • 솔라나
    • 330,500
    • -1.72%
    • 에이다
    • 1,449
    • +2.91%
    • 이오스
    • 1,136
    • -1.47%
    • 트론
    • 283
    • +0.71%
    • 스텔라루멘
    • 695
    • +3.58%
    • 비트코인에스브이
    • 99,050
    • +3.18%
    • 체인링크
    • 25,030
    • -4.06%
    • 샌드박스
    • 850
    • -1.9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