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대변인 정례브리핑"산불이 추경 계기…피해 지원·관세 대응 당장 급해"
정부가 10조 원 규모의 필수 추가경정예산(추경) 추진 목적에 대해 '경기 진작용'이 아닌 영남권 산불 사태와 미국 신정부 관세 정책에 따른 통상리스크 적기 대응을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강영규 기획재정부 대변인은 3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가진 정례브리핑에서 정부의 필수 추경 추
환율 상승에 위험가중자산 36조↑
지난해 국내 은행들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본비율이 전 분기 대비 일제히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율 상승으로 위험가중자산이 확대된 영향이다.
31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말 은행지주회사 및 은행 BIS 기준 자본비율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내은행의 보통주자본비율은 13.07%로 3분기 말(13.
한국은행, 13일 ‘3월 통화신용정책보고서’ 발간신 위원, 주관위원 메시지 내…“통화정책, 경기 하방압력 완화 비중”
신성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이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이 공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위원은 13일 “우리 경제는 성장세가 둔화되는 가운데 자영업자 등 특정 취약 부문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기 때문에 통화정책만으로 대응하기보다 재정정책과의
“가처분소득 올려 지역상권 투자…민생경제 마중물”정부 감액권 보장해…예산 편성권 침해·형평성 감안“지역화폐 도입 후 역내 소비 비율 10%p 상승 효과”與 “내수진작 효과 없어…현금 살포 포퓰리즘” 비판
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표 대표 정책으로 꼽히는 ‘지역화폐법’을 재발의했다. 지난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으나 윤석열 대통령의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로
16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 연 3.00% 동결 결정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올해 경제성장률이 기존 전망치 1.9%를 하회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금통위는 이날 통화정책방향을 결정하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3.00%로 동결했다.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을 통해 금통위는 “지난해 및 올해 성장률은 11월 전망치(2024년 2.2%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16일 기준금리를 동결하며 연 3.00%로 결정했다. 작년 10·11월 연속 인하한 이후 3회 연속 인하 가능성도 거론됐으나 동결로 결정했다.
금통위는 “향후 국내 정치 상황과 주요국 경제정책의 변화에 따라 경제전망 및 외환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현재의 기준금리 수준을 유지하면서 대내외 여건 변화를 좀 더 점검하는
2025년 경제정책방향성장률 0.4%↓…계엄·탄핵·트럼프 리스크 반영내수에 공공재원 18조…민생사업 1분기 40% 집행
정부가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1.8%로 종전(2.2%)보다 0.4%포인트(p) 하향 조정했다. 더딘 내수 회복세에 계엄·탄핵 사태, 미국 트럼프 정부 출범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크게 높아져서다. 정부는 18조 원 규모
복지 3.9조·SOC 4.4조…3년만 회계연도 전 배정지자체 국고사업 부담분 확보전 先교부…3조원↑면세점 특허수수료율 50%↓…휴대 면세주류 병수제한 폐지"건전재정 기조 변함없다…불확실성엔 종전보다 적극 대응"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3일 "사회간접자본(SOC) 분야 4조4000억 원 등 총 11조6000억 원 규모의 회계연도 개시 전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매파적 인하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의 1월 금리 인하를 제약할 수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19일 KB증권은 "예상보다 매파적인 스탠스로 인해 한은의 고민도 많아진 상황이다. 전일 한은 총재는 원달러 환율이 달러의 영향으로 상승했다는 입장이며, 추경 등을 언급하면서 환율보다는 경기 대응이 우선이라는 입장을 보
한은, 18일 ‘물가안정 목표 운영상황 점검’ 기자간담회 열어팬데믹 후 저성장·저물가 도래 가능성 시사점 분석‘장기 침체’ 관련 내용 반영해 ‘이목’…“日 잃어버린 20년 대표적”“저성장·저물가 진입 시 통화정책 유효성 제한, 비기축통화국 제약 커”“상당한 경제적 비용 불가피, 성장 잠재력 제고 위한 구조개혁 긴요”
한국은행이 ‘장기 침체(secular
9월 말 국내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비율이 전 분기 말 보다 상승했다. 위험가중자산의 증가세가 둔화하고 견조한 이익 실현으로 자본이 늘면서다.
27일 금융감독원이 '2024년 9월 말 은행지주회사 및 은행 BIS 기준 자본비율 현황'에 따르면 국내은행의 BIS 기준 총자본비율은 15.85%로 전 분기 말 대비 0.09%포인트(p) 상승했다.
보통주
신한금융그룹이 올해 3분기까지 4조 원에 달하는 순이익을 기록했다.
신한금융은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이 3조985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 증가했다고 25일 밝혔다. 일회성 손실 영향에 따른 전 분기 대비 순이익 감소에도 불구하고 이자이익 증가와 안정적으로 비용을 관리한 영향이다. 3분기 순이익은 1조2386억 원으로 전 분기 대비 13.1%
10일 NH투자증권은 중국 증시가 중국 정책 실책으로 9일 하락 마감했다고 분석했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8일 기자회견을 통해 2025년 정책예산 조기 집행과 지방정부채권 발행 가속화 등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발개위는 내년 정책예산 중 2000억 위안을 올해 연말까지 조기 집행해 제조업과 건설 투자를 확대할 방침이며, 지방정부 채권발행도 가속해
두 달 앞으로 다가온 미국 대선과 현실화한 빅컷(금리 0.5%포인트 인하), 인공지능(AI) 거품론,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 중국발 공급 과잉까지 국내 주력 산업 전반에 안개가 한 가득이다. 이에 기업들도 현금 곳간 채우기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삼성·SK·현대차·LG 등 10대 그룹 중 절반은 현금 사정이 악화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22일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더불어민주당 내 비명(비이재명)계의 구심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김 지사는 최근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대표 법안이자 민주당의 당론 1호 법안인 '전 국민 1인당 25만 원 지원법(민생회복지원금법)'과 관련한 입장을 밝히며 존재감을 부각하고 있다.
김 지사는 11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민생회복지원금과 관련해 "전 국민
국내 7대 그룹의 수익성이 3년 연속 악화하고 있다. 삼성, SK, 포스코, LG 등 대형 그룹사 위주로 수익성이 대폭 하락해 그룹 합산 EBITDA는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EBITDA는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현금창출능력을 나타내는 수익성 지표를 말한다.
29일 한국기업평가는 그룹 분석 웹세미나를 열고 국내 주요 7대 그룹사의 재무역량과
2분기 우리나라 경제가 역성장하면서 피벗(통화정책 기조 전환)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내수가 부진한 만큼 금리를 인하할 당위성이 커졌다는 분석이 있는 반면, 금융안정에 더 무게를 둬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27일 한은에 따르면 2분기 실질 GDP 증가율(속보·전분기 대비)은 마이너스(-) 0.2%를 기록했다. 2022년 4분기(-0.5%) 이후 1년
상반기 순이익 1조7554억원…전년 동기 대비 14% ↑비이자이익 급증…1주당 180원 2분기 배당금 확정
우리금융그룹이 2분기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또 중장기적으로 총주주환원율 50%를 목표로 하는 '밸류업 계획'을 은행지주 중 처음으로 발표했다.
우리금융은 27일 경영실적 발표를 통해 2분기 당기순이익이 931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시장 전망치 하회, 최근 5개 분기 중 최저제조업 호조 vs 소비 침체 양극화부동산시장 상황 한층 악화주요 도시 중 91%, 6월 집값 하락시장, 3중전회 기대감 낮아
중국이 좀처럼 경기둔화 수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중국 지도부는 시진핑 3기 경제 청사진을 제시할 공산당 제20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3중전회)에서 난국 타개책을 내놓아야 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