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부산시와 디자인정책 교류를 위한 협약을 맺고 '디자인 서울'의 도시 간 동행을 위해 본격적인 확산에 나선다고 31일 밝혔다.
서울시는 27~28일 부산시에서 도시 디자인 분야 전문가, 관계 공무원 70여 명이 참석한 디자인정책 교류 워크숍을 개최하고 두 도시 간 디자인정책 교류 협약을 맺었다.
이번 협약은 지난해 8월 체결한 '서울시-부산시
성신여자대학교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지원하는 ‘디지털융합디자인 전문인력양성사업’에 이 대학 서비스디자인공학과가 최종 선정됐다고 26일 밝혔다.
‘디지털융합디자인 전문인력양성사업’은 인공지능(AI), 디지털헬스케어, 가전, IoT, 로봇 등 미래 성장동력인 디지털융합 디자인 산업을 이끌어 갈 산업계 수요 중심의 석·박사급 혁신
서울시는 24일 4급 이상 간부를 대상으로 전보 인사를 내고 내년 1월 1일자로 시행한다고 밝혔다.
다음은 서울시 전보 인사.
◇ 3급 이상 전보
△경제실장 주용태 △복지실장 윤종장 △교통실장 여장권 △기후환경본부장 권민 △문화본부장 마채숙 △관광체육국장 구종원 △재무국장 이혜경 △건설기술정책관 김승원 △재난안전실장 한병용 △주택실장 최진석 △도시기
비씨카드가 자체 카드상품 라인업인 ‘바로카드’가 주요 글로벌 디자인 어워드 석권이라는 쾌거를 이뤄냈다고 9일 밝혔다.
‘글로벌 디자인 잇 어워드(iT Award)’는 산업통상자원부, 한국디자인진흥원의 후원으로 사단법인 한국디자인산업연합회(KODIA)가 2011년부터 매년 주최하는 국제 디자인 대회로, 비씨카드는 6일 ‘시각커뮤니케이션디자인’ 부문에서
27일 DDP서 ‘2024 서울디자인국제포럼’ 개최오 시장, 피터 젝‧크레이그 카이너와 특별대담국내외 디자인 전문가 모여 인사이트 공유해
서울시가 27일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2024 서울디자인국제포럼(SDIF)’을 개최했다. 올해 다섯 번째를 맞는 이번 포럼은 지난해 발표한 ‘디자인서울 2.0프로젝트’의 체계적인 추진과 활기차고 매력적인
오세훈 서울시장의 ‘디자인 서울’ 구상이 도시 미관 개선에서 산업 기반 조성으로 확장된다. 1기 시정 때인 2007년 개념도 생소한 ‘도시 디자인’을 처음 제시한 후 지난해 ‘디자인서울 2.0’을 통해 도시 경관의 경쟁력을 끌어 올렸다. 이제는 디자인산업을 본격적으로 키워 서울의 경제를 견인하는 대표 주자로 만들고, 서울도 글로벌 선도도시로 도약한다는 계
서울시가 디자인산업 발전을 통해 ‘글로벌 디자인산업 선도도시’로 다시 한번 도약하겠다고 선언했다.
16일 서울시는 ‘디자인산업 발전 5개년 계획’을 발표하고 5년간 1732억 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2009년 지자체 최초로 ‘디자인산업 활성화 종합계획’을 발표한 지 15년 만으로, 오세훈 서울시장이 2007년 처음 발표한 ‘디자인서울’의 세 번째 확장
노루페인트가 인천 동구에 소재한 재능대학교와 함께 문화콘텐츠계열 재학생을 위한 ‘CMF LAB’를 구축했다고 23일 밝혔다.
CMF는 디자이너가 제품을 만들 때 고려하는 중요한 3가지 요소인 색채(Color), 소재(Material), 마감(Finish)을 뜻하는 기술용어다. CMF 라이브러리는 디자이너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샘플들로 채워진
우리 방산 수입국, 성능에 디자인 및 사용자 편의성·안전성 요구방산 제품 특화 최적 디자인 개발 '방산-디자인 연계사업' 추진
이미 성능으로는 국제 사회에서 인정받은 K-방산이 디자인을 입고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방산 제품에 특화된 최적의 디자인 개발을 지원하는 '방산-디자인 연계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물론, 내년 상반기 무기체계 사용성을
안덕근 산업장관, 'AI 디자인 확산 전략' 발표…K-디자인과 AI 융합 첫 청사진정부, 올해 안에 AI 디자인 기술로드맵 마련…2025년부터 R&D 지원디자인 기업의 AI 전환 및 AI 디자인 SW 기업 육성 지원
정부가 인공지능(AI) 디자인 기업 500개와 AI 전문 디자이너 1만 명을 양성한다. 또 올해 안에 AI 디자인 기술로드맵을 마련하고, 내
‘민주당 영입인재 1호’, ‘전직 대통령실 참모’라는 특이한 이력을 가진 두 여성 후보가 경기 의정부갑 지역에서 격돌을 벌이고 있다.
의정부갑은 대표적인 진보 정당 강세 지역이다. 민주당 문희상 전 국회의장이 내리 6선을 했고, 오영환 새로운미래 의원도 지난 21대 총선에서 민주당 후보로 이곳에서 당선됐다.
22대 총선에서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의 영
서울시가 미래 서울 디자인산업을 이끌어 나갈 디자인 전문기업을 집중 지원한다. 스타트업 육성은 물론이고 상품화와 해외판로 개척 등으로 실질적인 성장동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뒷받침할 방침이다.
17일 서울시와 서울디자인재단은 디자인 전문기업 육성과 국내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혁신을 위한 '디자인산업 육성사업'을 본격적으로 가동한다고 밝혔다. 사업에는
GC(녹십자홀딩스)가 지디웹이 주관하는 ‘2023 지디웹 디자인 어워즈에서’에서 건강 분야 대상을 받았다고 25일 밝혔다.
‘지디웹 디자인 어워즈’는 2005년부터 진행된 국내 웹디자인·모바일 UX 평가 시상식으로 디지털 디자인 산업의 발전을 위해 매년 우수작을 선정하고 있다.
GC는 기업이 추구하는 가치를 명확히 소개하고자 GC 홈페이지를 신설 오
서울시가 'K디자인' 세계화를 위해 산업통상자원부, 문화체육관광부, 디자인하우스와 손을 맞잡았다.
18일 서울시는 서울 트레이드타워에서 관련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그동안 개별적으로 개최됐던 4개 디자인 전시행사를 통합해 K디자인을 더욱 활성화 시키고 디자인산업을 대표하는 국제행사로 육성하기 위해 추진됐다.
통합행사 명칭은 '코리
서울시가 ‘활력도시 서울’을 만들기 위한 ‘디자인서울2.0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공공미술 명소와 서울형 스카이라인이 조성되고 세대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초세대놀이터 디자인도 마련된다.
20일 서울시가 기자설명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디자인서울2.0 프로젝트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서울을 글로벌 탑5 도시경쟁력의 디자인 도시로 견인한
정부가 대한민국 '소프트파워'인 디자인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2027년까지 5000억 원을 집중 투자한다. 이를 통해 디자인 전문 기업의 매출액 10조 원을 달성하고, 디자인 인력 1만 명을 양성한다는 목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서울 DDP 디자인랩에서 열린 제8차 산업전략 원탁회의를 통해 이런 내용을 담은 'K-디자인 혁신전략'을 발표했다
서울시와 서울디자인재단은 15일 ‘중소기업 산업디자인 개발 지원사업’의 대상기업으로 최종 65개 팀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서울시 중소기업 산업디자인 개발 지원사업은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중소기업의 제품·서비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디자인 개발을 지원해 주는 사업이다.
지난 2월 말부터 진행된 이번 공모에는 중소기업과 디자인기업이 팀을 이뤄
145만 명의 팬덤을 가진 벨리곰이 잠실과 광화문에 이어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 뜬다.
롯데홈쇼핑은 28일까지 서울 중구 DDP에서 벨리곰 조형물 전시, 신진 디자이너가 제작한 굿즈를 선보이는 ‘비-포레스트(B-Forest):이상한 DDP의 벨리곰’ 행사를 진행한다고 3일 밝혔다.서울의 랜드마크에서 진행 중인 공공전시의 일환이다.
전시는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