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달 전국에 2만3730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다만 서울 분양 물량은 400가구 규모에 그친다.
31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4월 분양 예정 물량은 27개 단지에서 총 2만3730가구(일반분양 1만2598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가량 줄어든 규모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1만7772가구, 지방 5958가구다. 수
부동산 시장이 탄핵 정국과 경기 침체 등 정치·경제적 불안에 빠진 가운데 건설사도 올해 마수걸이 사업장에 대한 깊은 고민에 빠졌다. 이달 분양예정물량이 실제 실적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6일 부동산 정보업체 ‘직방’에 따르면 이달 전국 분양예정 물량은 18개 단지, 총 1만3113가구(일반분양 9379가구)로 조사됐다. 전년 동기(1만4773가구) 대
올해 청약시장에서 소형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연일 치솟는 분양가에 대한 부담 탓에 집의 크기를 줄이는 사람들이 많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4인 미만의 가족이 늘어난 것도 배경이다.
4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소형 아파트(전용면적 60㎡ 이하)의 평균 청약경쟁률은 30.6대 1(1~11월 둘째 주 기준)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이달 전국 2만8000여 가구가 분양시장에 도전장을 내민다. ‘얼죽신’(얼어 죽어도 신축) 열풍에 힘입은 건설업계가 올해 막바지 스퍼트에 나서는 모습이다.
2일 부동산 정보업체 ‘직방’에 따르면 이달 전국 12월 분양예정 물량은 40개 단지, 총 2만8070가구(일반분양 1만7358가구)로 조사됐다. 전년 동기(2만9011가구) 대비 3% 적다.
연내
정부의 전방위적 대출 규제가 시행되며 ‘내 집 마련’에 속도를 내던 매수세가 한풀 꺾였다. 비교적 저가 아파트가 산재한 지역은 서서히 집값 하락을 직면하고 있다. 반대로 고가 아파트가 밀집한 곳은 여전히 굳건한 가격 오름세를 보이는 모습이다. 업계에선 대출 조이기와 신축 품귀 현상이 두드러지는 내년에 이 같은 양극화가 더욱 심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0월에 이어 11월에도 전국적으로 다수의 아파트가 분양을 계획하고 있다. 신축 아파트에 대한 수요자들의 높은 관심을 바탕으로 건설사들이 미뤘던 분양을 준비하는 모습이다. 단지별 청약 양극화와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단지의 쏠림은 계속될 전망이다.
4일 프롭테크 업체 ‘직방’에 따르면 이달 분양예정 물량은 49개 단지, 총 3만9240가구(일반분양 2만5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아파트 청약 경쟁률이 치솟고 있다.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돼 주변 시세 대비 합리적인 가격으로 강남 입성이 가능해 수요자와 투자자 모두의 주목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4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올해(1~9월) 서울 강남 3구에서 공급된 총 5개 단지, 1065가구(일반공급) 청약에 총 27만3704명이 신청해 1
다음달 전국 분양 아파트가 쏟아지는 가운데 청약 양극화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집값이 오르면서 분양가상한제 아파트와 같이 가격 경쟁력이 높은 단지와 현재 가격이 비싸더라도 희소가치가 있는 우수 입지 단지의 수요가 몰리는 쏠림 현상이 지속하고 있어서다.
30일 프롭테크 업체 직방에 따르면 다음 달 전국 분양예정 물량은 45개 단지, 총 3만8055가구(
가을 분양시장의 포문을 여는 9월 전국에 3만7000여가구가 분양된다. 새 아파트에 대한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그동안 일정을 잡지 못하던 사업장에서도 속속 분양을 준비하는 추세다.
2일 프롭테크 업체 직방에 따르면 이달 전국 분양예정 물량은 43개 단지, 총 3만7532가구(일반분양 2만5916가구)로 조사됐다. 전년 동기(1만3538가구)
7월에는 4만4000가구가 분양에 나선다. 특히 서울 서초구 신반포15차 재건축 단지인 '래미안 원판테스'를 비롯해 강남3구 분양단지에 이목이 집중될 전망이다.
2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7월에는 전국에서 54개 단지, 총 4만4355가구(임대 포함 총 가구수)가 분양에 나선다. 올해 월간 기준으로 가장 많은 물량이며, 작년 동기보다
6월 전국에서는 3만9393가구가 분양에 나설 예정이다. 경기도에서만 2만2000가구 가량이 공급되며, 전국 물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3일 프롭테크 업체 직방에 따르면 6월 분양예정 물량은 44개 단지로, 2만9340가구가 일반분양된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2만2169가구로 가장 많다. 다음 △서울 3269가구 △인천 1612가구 순이다. 지방에
한동안 침체에 빠졌던 수도권 부동산 시장이 한층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올해 1분기 매매 거래량이 늘어난 데다 신고가를 기록하는 단지까지 나타나면서다.
2일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수도권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4만1938건을 기록했다. 이는 직전 분기 3만4297건 대비 7641건(22.28%) 늘어난 것이다. 전년 동기 3만4
건설사들이 커뮤니티 고급화·차별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수요자들이 주거 편의성과 자부심을 높여주는 커뮤니티를 중요한 판단 기준의 하나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놀이터, 경로당 등으로 한정됐던 아파트 커뮤니티 시설이 골프연습장, 사우나, 피트니스, 스터디룸 등으로 확대, 고급화되고 있다.
수요자들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서다. 여론
건설사들이 각 사의 정체성을 담아 수 십 년간 사용하던 주택 브랜드를 잇달아 교체하거나, 신규 브랜드를 론칭하는 등 변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오랜 기간 한 브랜드를 사용하며 굳어진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하고, 향후 주택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9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금호건설은 최근 새 주거 브랜드 '아테라'(ARTERA)를 공개했
올해 중 가장 많은 물량이 이번 달 중 분양될 예정이다. 지난달 청약제도 개편과 총선으로 분양물량이 축소된 여파가 이번 달 분양물량 증가로 이어졌다.
2일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이번 달에는 전국에서 3만6235가구가 분양될 예정이다. 올해 월간 기준 가장 많은 물량이다. 지난해 같은 시기(1만4363가구)와 비교하면 2배 이상 많
주거 공간에서 수요자들의 니즈를 반영한 특화 설계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단순히 거주의 공간을 넘어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맞춤형 주거 공간을 갖춘 곳을 찾는 수요자들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12일 분양업계에 따르면 최근 주택시장에서 특화 설계를 갖춘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주요 건설사들은 각자의 브랜드 정
올 4월 분양이 예정된 아파트가 지난해 4월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에서만 1만 가구 이상 분양에 나설 예정인 가운데 총선을 앞두고 실제 공급량은 이보다 적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1일 프롭테크 기업 '직방'에 따르면, 4월 분양예정 물량은 45개 단지, 총 4만825가구에 달한다. 전년 동월(1만5192가구) 보다 무려 16
분양시장에서 매머드급으로 불리는 2000가구 이상 대단지가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분양물량이 남김없이 소진되는 것은 물론이고 웃돈이 붙은 분양권 거래도 이뤄지는 모습이다.
21일 청약홈과 부동산R114 등에 따르면 지난해 수도권에 공급된 2000가구 이상 대단지 7곳 중 6곳이 1순위 마감에 성공했다. 85.7%가 1순위 마감된 것이다.
특히 서울
이달 분양시장에 2월 기준 역대 최다인 3만 가구 이상이 나올 전망이다. 3월 청약홈 개편과 4월 총선 등이 예정돼 건설사들이 그 전에 물량을 쏟아낼 것으로 보인다.
1일 부동산R114는 이달 전국에서 36개 단지, 총 3만645가구가 분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수도권은 1만6645가구가 분양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1만7255가구보다는 적지만 전
올해 분양 물량이 적은 편이고 분양가 오름세는 지속될 전망이라 예비 청약자들의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시장이 상승 흐름에 있으면 분양가가 비싸더라도 집값이 오를 것이란 기대를 품고 청약에 나서겠지만, 조정을 받고 있어 자칫하면 자금조달 부담만 안고 손해를 볼 수 있어서다.
4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민영아파트 분양 예정 물량은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