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원전 2기·첫 SMR 반영재생에너지 설비 '현재 4배' 122GW로 확대2038년 전력수요 현재보다 30%가량 증가 전망
2년 주기로 수립되는 국가 최상위 계획이자 장기 전력 수급 전망 및 발전원 확충 계획을 담은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이 확정됐다. 정부는 원전과 태양광, 풍력, 수소를 아우르는 무탄소 전기 사용 확대를 통해 첨단산업 발
정부, 27일 '반도체 생태계 지원 강화방안' 발표 국가전력기술 투자세액공제율 상향 추진14조 이상의 반도체 분야 정책금융 공급
정부가 용인·평택 반도체 클러스터의 송전선로 지중화 비용 중 절반 이상을 분담하기로 했다. 또한 반도체 기업에 대한 국가전략기술 투자세액공제율을 상향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기획재정부는 27일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
반도체, 신재생 발전 확대 등 자구책철강, 상승분 제품 가격 반영 고민경기침체ㆍ고물가 속 원가 부담 겹쳐가정, 여름 누진요금 적용땐 ‘폭탄’
2분기 전기·가스요금이 인상되면서 경기침체와 고물가에 신음하는 산업계와 각 가정의 부담이 높아지게 됐다.
15일 정부가 45일가량 미뤄졌던 2분기 전기·가스요금을 인상하면서 장기 경기침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산업
정부와 한국전력이 호남 지역의 남는 전기를 수도권으로 보낼 수 있는 이른바 '전기 고속도로'를 서해 해상에 설치한다. 정부가 대규모로 해상 초고압 송전시설 건설을 추진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전력은 안정적 전력계통 구축을 목표로 수립한 '제10차 장기 송·변전 설비계획'이 산업통상자원부 전기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고 8일 밝혔다.
이
42개 권역별 전력계통 상황을 보여주는 전력계통 정보공개 시스템이 올해 구축된다. 기업들이 투자 계획 단계에서 전력 현황 등 관련 정보를 고려해 투자에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박기영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18일 목동 KT 데이터센터에서 수도권 전력계통 상황점검과 전력계통 영향평가제도 도입 등 안정적 계통운영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
2034년 현재 60기의 석탄발전기가 절반으로 줄어든다. 원자력발전 역시 2024년 26기로 정점을 찍은 후 2034년 17기까지 줄어든다. 반면 신재생에너지는 62.3GW(기가와트)의 신규 설비를 확충해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상 보급목표를 차질 없이 달성한다.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워킹그룹은 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지난해 3월부터 51차례의
발전사들이 올해 말 발표될 정부의 9차 전력수급 기존계획에 중장기적 혜택을 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3일 유진투자증권은 올해 말에서 내년 초쯤 발표될 것으로 예상하는 9차 전력수급계획에 대해 △수요자원시장 효율 제고 △석탄화력발전소 감축 △분산형 전원 확대 △석탄화력발전 상시 제약운전을 위한 전력시장제도 개선 등이 담길 것으로 예상했다. 수급계획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