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경기도의회 간 소통을 담당하는 경기도 협치수석에 김봉균 도의회 의장 비서실장이 내정됐다.
24일 경기도, 경기도의회에 따르면 김봉균 내정자는 의장 비서실장직에서 사직한 뒤 25일 경기도 협치수석으로 임명될 예정이다.
10대 경기도의회 의원을 역임한 김 내정자는 더불어민주당 민주연구원 지방정책연구위원·중앙당 부대변인, 수원평화나비 공동대표, 경기
11대 경기도의회 후반기 의장의 직무를 보좌하고 정책 개발에 주도적 역할을 수행할 비서실장에 김봉균 전 도의원이 임명됐다.
25일 도의회에 따르면 김봉균 신임 의장 비서실장은 22일 본격 업무에 들어갔다.
김 신임 비서실장은 1968년 수원 출생으로 경희대 환경학과를 졸업하고 민주연구원 객원연구위원을 거쳐 지난 10대 도의원으로 활약했다.
앞서 도의회
경기테크노파크는 11일 경기도의회 염종현 의장이 방문, '2024년 상반기 업무성과'를 보고받고 직원들을 격려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업무보고는 의회와 공공기관 간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로, 염 의장을 비롯해 경기테크노파크 유동준 원장 등 15명이 참석했다.
염 의장은 이날 경기테크노파크가 전국스마트제조혁신센터 평가에서 'S' 등급을 획득
경기도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하 경과원)은 22∼25일 나흘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럽 최대 스타트업 행사인 ‘비바 테크’(VIVA TECH 2024) 전시회에 도내 기업의 유럽 시장 진출을 위해 경기도 DX존을 운영했다고 27일 밝혔다.
프랑스 파리 ‘포트 드 베르사유(Porte de Versailles)’ 전시장에서 진행된 비바 테크는 여러 기업
제14회 경기도장애인체육대회가 25~27일 사흘간 파주시 임진각 평화누리에서 진행된다.
'아름다운 도전, 감동 가득 파주, 하나 되는 경기!'를 표어(슬로건)로 하는 이번 대회엔 경기도내 31개 시군 선수단 4942명(선수 2262명, 보호자·임원 2680명)이 참가한다.
대회에선 시각, 지적, 청각, 뇌 병변, 절단, 기타 등 장애 유형을 가진 전문
경기도의회가 24일 전국 지방의회 최초로 대국회 의정활동 지원기관인 '경기도의회 서울사무소'를 개소했다.
서울사무소 설치는 도의회와 국회 간 긴밀한 협력관계 구축을 목표로 염종현(더불어민주당·부천1) 의장이 추진해 온 역점사업이다. 지방과 중앙의 유기적 소통으로 지방의회법 제정 등 자치분권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도의회는 이날
경기도의회가 올해부터 '전국 최초'로 기초의회 대상 입법지원 컨설팅 사업을 본격 시행한다.
13일 경기도의회에 따르면 시·군 대상 입법지원 컨설팅 사업은 염종현 의장이 지난해 취임 1주년 기념 인터뷰에서 제안한 '도의회와 시·군의회 간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방안의 하나다.
시·군의회의 제·개정되는 자치법규안의 전체조문을 대상으로 △상위법령 위반 여부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염종현 경기도의회 의장과 함께 2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와 고기동 행정안전부 차관을 잇달아 만나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특별법 제정을 위한 법적 절차인 주민투표 실시를 공식 요청했다.
김동연 지사는 이날 오전 한덕수 국무총리와 비공개 면담을 갖고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추진 배경을 설명하고, 북부특별자치도 설치에 대한 경기도민의
제34회 경기도생활체육대축전이 15일 고양종합체육관에서 개회식을 시작으로 17일까지 진행된다.
‘미래를 바꾸는 힘 고양, 화합을 이루는 힘 경기’를 표어(슬로건)로 한 이번 대회에는 도내 31개 시군 2만여 명(선수 1만 6924명, 임원 3109명)의 선수단이 참가해 육상, 수영, 축구 등 25개 종목에서 실력을 겨룬다.
개회식은 이날 오후 6시 고양
경기도가 15일 오전 11시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에서 제78주년 광복절 경축행사를 개최한다고 14일 밝혔다.
코로나19로 2019년 제74주년 광복절 이후 4년 만에 열리는 현장 경축행사다.
행사에는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황덕호 광복회경기도지부장을 비롯한 시군 지회장, 염종현 경기도의회의장, 도내 유관기관·보훈단체장 등 400여 명이 참석한다.
김동연
염종현 경기도의회 의장이 9일 의회 브리핑룸에서 취임 1주년 기자회견을 열고 “제11대 의회 전반기 남은 1년 간 ‘자치분권3.0 시대’를 선도하겠다”라는 포부를 밝혔다.
‘자치분권3.0’이란 1991년 지방자치 재개로 시작된 ‘자치분권1.0’과 2020년 지방자치법 전면개정으로 비롯된 ‘자치분권2.0’을 넘어서서 주민참여를 확대해 직접민주주의 제도를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