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원화표시 외국환평형기금 채권(원화표시 외평채)의 1월 발행일정을 당초 계획보다 하루 앞당긴 1월 23일로 변경한다고 16일 밝혔다.
기재부는 당초 1월 24일 원화표시 외평채의 정기 경쟁입찰을 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이달 27일 임시공휴일 지정 등을 고려해 하루 앞당기기로 했다. 입찰일은 1월 23일이다.
원화표시 외평채의 발행 및 운영
22년 만의 원화 외평채(원화표시 외국환평형기금 채권) 발행에 따른 공급 우려가 나오는 것과 달리 시장의 부담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외평채 등장은 2003년 이후 처음이다.
9일 삼성증권은 " 2022년 140조 원의 발행을 소화했던 1년물 발행시장의 규모를 감안할 때, 올해 신규로 발행되는 원화 외평채 20조 원 발행 증가의 부담은
2025년 국고채 발행계획
정부가 내년에 국고채 197조6000억 원을 발행한다.
기획재정부는 30일 내년도 예산과 시장여건 전망 등을 토대로 이러한 내용의 '2025년 국고채 발행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내년 총 발행한도는 197조6000억 원으로 올해 발행량(158조4000억 원)보다 39조2000억 원 증가했다. 이 중 순발행 한도는 80조
기획재정부는 내년 1월부터 외국환평형기금(외평기금)의 부담으로 발행하는 원화 표시 외국환평형기금 채권(원화 외평채) 발행을 시작한다고 26일 밝혔다.
원화 외평채는 2003년 이후 발행되지 않았으나 외평기금의 원화 재원을 저금리‧단기로 조달함으로써 외평기금의 탄력적 운용과 수지 개선을 도모하기 위해 다시 도입됐다. 이달 10일 국회에서 관련 법령과 예
정부 기대하던 이자비용 절감 효과 사라져 '대(對)고객 외국환중개업' 도입도 미뤄질 듯
정부가 원화 재원을 조달하기 위해 21년 만에 추진한 '원화 표시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 발행이 올해는 무산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 전자등록 법안이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어서다.
정부는 올해 30조 원에 이르는 세수 결손을 메우기 위해 최대 6조 원의
정부, 세수 재추계 결과 발표..."경기 부진에 법인세 등 국세수입 급감"3년째 10% 이상 세수 오차율 불명예..."가용재원 총동원해 재정집행 만전"
올해 세수 결손분이 역대 최대인 60조 원에 육박할 것으로 예측됐다. 정부가 기업 영업이익 급감, 자산시장 위축 등을 이유로 올해 국세수입 전망치를 기존 400조5000억 원에서 341조4000억 원으로
정부가 외환시장 안정을 위해 발행하는 외국환평형기금채권의 내년 한도를 지금껏 가장 많은 19조원 규모를 잡았다.
세계적 재정위기로 국내 외환시장에 충격이 가해지고 이런 현상이 장기화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을 고려해 정부가 적극적인 대응 의지를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3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2012년 외국환평형기금 운용계획안에서 내년 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