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3사 정기 주주총회 개최SKT "AI 공급자로 수익 창출할 것"KT "본업 위해 합리적 구조조정"LG유플러스, '글로벌 AI 협력' 집중
이동통신 3사가 인공지능(AI)을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삼고 전사적 체질 개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각 사 대표들은 정기 주주총회에서 '돈 되는 AI'를 키우기 위해 수익성 기준으로 사업을 재정비하겠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 주주총회 개최홍범식 사장, 사내이사로 선임"빅테크 격차, 협력으로 극복할 것"
홍범식 LG유플러스 사장은 취임 후 첫 주주총회에서 글로벌 빅테크와의 협력해 선제적 인공지능(AI) 경쟁력을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글로벌 빅테크 대비 AI 투자 규모와 기술력에서 격차가 일부 존재하지만, 이를 극복하기 위해 AI 밸류체인의 다
웨이브(Wavve)는 국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서비스 최초로 ‘인공지능 컨택센터(AICC)’를 도입했다고 20일 밝혔다.
웨이브 AICC는 인공지능 음성 상담서비스 ‘웨이비’가 이용자 질문을 실시간 분석하고 신속하게 답변하며 상담을 진행한다.
상담이 필요한 고객이 웨이브 고객센터를 통해 자연어로 질문하면 ‘웨이비’는 음성 데이터를 분석, 곧바로
SK텔레콤은 지난해 연결 매출 17조9406억 원, 영업이익 1조8234억 원을 기록했다고 12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1.9%, 4.0% 증가한 수준이다. 순이익은 1조4388억 원으로 집계됐다.
SK브로드밴드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3.1%, 13.7% 증가한 4조 4111억 원, 3517억 원이다. 유료방송 가입자 증가와
영업익 210억…전년비 2.3%↑"BPO에 AI 솔루션 결합할 것"
KTis는 지난해 매출액 6039억 원, 영업이익 210억 원을 기록했다고 10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1.8%, 2.3% 증가한 수준이다.
KT고객센터, KT플라자, 114 번호안내 등 서비스와 컨택센터 사업의 인공지능(AI) 솔루션 제공 확대로 매출 증대를 이끌어냈다.
SKT, 영업익 16% 오른 3453억 전망LG U+. 스마트홈 등 수익성 개선KT, 구조조정 영향 영업적자 예상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의 지난해 4분기 전체 매출액이 15조 원을 넘길 전망이다. 다만 각사별 희비는 엇갈린다. SKT와 LG유플러스는 사업 및 조직의 체질 개선으로 선방한 반면, KT는 대규모 조직 재배치로 인한
AI 서비스 주도 'AI 에이전트 추진그룹' 신설CTO 직속 '에이전트ㆍ플랫폼 개발랩' 배치애자일 트라이브로 신규 서비스 개발에 박차"그로쓰 리딩 AX 컴퍼니로 조직 전면 개편"
LG유플러스가 인공지능(AI)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AI 상품 및 서비스를 주도하는 'AI 에이전트(agent) 추진그룹'을 신설한다고 28일 밝혔다.
기업과 소비자 간
SKT, AI인프라 사업에 주력'AI DC R&D' 클라우드 조직 확대다음달 첨담설비 테스트베드 개소KT, AICT 기업 전환 속도연구개발 담당 등 대규모 조직개편인공지능 컨텍센터 분야에 힘쏟아LG유플, AI고도화 속도AI전략 총괄 'AX기술그룹' 신설2028년 AI B2B 매출 2조원 목표
SK텔레콤·KT·LG유플러스 이동통신3사가 인공지능(AI)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코난테크놀로지는 지난 달 30일 경찰청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 콜센터 시스템 고도화 사업’을 계약했다고 7일 밝혔다. 사업 기간은 계약 후 150일간이며 사업비는 4억6000만 원 규모다.
이번 사업은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에서 수행하는 전화 상담 업무를 확장해 챗봇 등 다양한 고객 인입 채널을 확보하
세종네트웍스는 ‘인공지능(AI) 콜봇’을 출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 컨택센터(AICC)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AI 콜봇은 컨택센터 상담원의 전화 상담 업무를 AI 음성봇이 대신하는 서비스다. AI 음성봇은 지정된 고객에게 자동으로 전화해 본인확인 후 상담을 진행한다. 대량의 고객 응대를 자동화해 대기 시간 없이 원활
사업ㆍ조직 '선택과 집중' 나서글로벌 빅테크 기업과 파트너십생성형 AIㆍ모바일 서비스 강화블록체인ㆍ메타버스 등 종료수익 못낸 '저수익 사업' 접어전반적인 인력감축 기조 유지
김영섭 KT 대표가 이달 30일 취임 1주년을 맞는다. 김 대표의 취임 후 주요 행보는 사업 및 조직의 ‘선택과 집중’이었다.
KT는 올해 저수익성 사업을 대거 철수했다. 대표적
매출액 6조5464억ㆍ당기순이익 4105억“지난해 3분기 임금협상 비용이 반영됐다”무선 사업 매출 2.5% 증가하며 실적 개선기업서비스 매출은 수요 증가세에도 1% 감소
KT는 연결 재무제표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 4940억 원을 기록했다고 9일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14.3% 감소한 수치다.
매출액은 6조5464억 원
KT스카이라이프가 연결 재무제표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손실 1억5900만 원을 기록하며 적자 전환했다고 7일 공시했다.
2분기 매출액은 2546억2500만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7% 감소했다. 당기순손실은 19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콘텐츠 투자에 따른 무형자산상각비가 늘었기 때문이다. KT스카이라이프는 "인터넷과 모바일 가입자 순증으로
익시젠 AI 에이전트 서비스 연내 8개 확대글로벌 빅테크와의 협력도 지속 추진앤드류 응 교수와 'AI 펀드' 협업 계획
“우리의 강점인 데이터를 활용해 빠르게 인공지능(AI)를 사업화할 수 있도록 글로벌 AI 전문가들과 협력을 모색하겠다.”
황현식 LG유플러스 사장이 앤드류 응(Andrew Ng) 스탠퍼드대 교수와 만나 이같이 밝혔다.
LG유플러스
글로벌 AI 컴퍼니 비전 위한 구성원 타운홀 개최“AI DC 등 AI 신성장 영역의 경쟁력 강화할 것”장기적으로는 텔코 BM의 AI 전환 완성할 계획‘본원적 경쟁력 강화’ 위해 체질 개선도 나서
"3년간 인공지능(AI) 피라미드 전략을 구체화했고, 이제는 AI로 수익을 얻는 방법을 고민할 때다."
유영상 SK텔레콤 최고경영자(CEO)가 AI 수익화를
"AI 기반 기술 활용한다" 국내 플랫폼 기업 중 16.9%기업 규모 클수록 AI 활용↑…"향후 이용 계획 있다" 52.1%
국내 플랫폼 기업 중 인공지능(AI) 기반 기술을 활용하는 곳이 16.9%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다만 국내 플랫폼 기업 중 절반 이상은 AI 기반 기술을 도입하려는 의향이 있어, 기술 도입 및 실제 활용은 시간문제인
이통3사 2분기 실적 전망…"평이 혹은 흐림 전망"제4이통 무산·총선 끝은 긍정적…AI 수익화 관건
올해 2분기에도 이동통신 3사의 실적이 개선되기 어려울 전망이다. 다만 증권가는 제4이동통신 무산과 인공지능(AI)이 통신사에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증권가는 24일까지 통신 시장의 둔화세 속에서도 제4이동통신 무산이 이통3사에 긍정적인
본사서 20일 AICC 구축 프로젝트 킥오프아마존웹서비스와 협력해 AI 서비스 도입
대한항공이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손잡고 인공지능(AI)을 적용한 ‘인공지능컨택센터(이하 AICC)’ 플랫폼을 구축한다.
대한항공은 20일 서울 강서구 본사에서 AICC 구축 프로젝트 킥오프 행사를 열고 AWS의 AI 기술을 활용한 상담 서비스 품질 향상에 대해 논
이동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의 올해 1분기 실적은 보합세를 보였다.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등 비통신 분야의 성장이 본업인 통신 부문의 성장 둔화를 만회했다. 통신 회사에서 AI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는 이통 3사의 비통신 부문 성장세가 본격화하는 모습이다.
9일 통신 업계와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이통 3사의 합산 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