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
3일(월)
△2024년 12월 및 연간 산업활동동향(석간)
4일(화)
△기재부 1차관 10:00 국무회의(서울청사)
△2024년 12월 및 연간 온라인쇼핑동향(조간)
△KDI 북한경제리뷰(2025.1)(조간)
5일(수)
△2025년 1월 소비자물가동향(석간)
6일(목)
△기재부 1차관 10:00 경제·금융상황점검TF(비공개)
2007년 2만9000여 에서 16년 만에 두 배 이상 늘려나고야의정서로 생물자원 중요성 확산…한반도 생물종 현황 파악 토대 마련
#아프리카 남부 칼라하리 사막의 산족은 선인장과 닮은 '후디아'란 식물을 씹으며 배고픔을 달랬다. 후디아를 씹으면 배고픔이 사라진다는 사실은 수 천 년 이어진 산족의 전통 지식이다. 영국의 한 제약회사는 2001년 후디아에서
국립생물자원관이 새해를 맞아 전시실 새 단장을 마치고 재개장했다.
생물자원관은 관내 전시관인 생생채움 제2전시실과 제3전시실을 새롭게 단장해 2일부터 문을 연다.
생생채움은 2007년 10월 개관해 연간 약 30만 명 이상 방문하는 자생생물자원 전문 전시관이다. 2022년 제1전시실을 시작으로 이번 제2, 3전시실을 마무리 지으면서 생물자원에 대한 관
독도에만 서식하는 신종 흡혈 곤충이 확인됐다. 연구진은 독도의 지명을 따서 '독도점등에모기'로 이름을 정하고, 올해 말 국가생물종목록에 등재할 예정이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70여 년간 독도경비대원을 괴롭혀 깔따구로 알려진 흡혈성 곤충이 독도에만 서식하는 신종으로 확인돼 '독도점등에모기(Culicoides dokdoensis)'로 명명했다고 1
국내 최초로 빛을 에너지로 전환해 활동하는 세균 유전자를 발견했다. 연구진은 내달 특허출원을 진행하고, 세포 활성 조절 등을 위한 센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추가 연구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플라보박테리움'속의 세균으로부터 빛을 매개로 활발히 활동하는 세균 광활성 단백질(프로테오로돕신) 유전자를 찾았다고 3일 밝혔다.
생물
건강기능식품 전문기업 CJ웰케어가 국립생물자원관과 손잡고 건강기능식품 신소재 발굴에 나선다.
CJ웰케어는 환경부 소속기관인 국립생물자원관과 국내 생물소재 활용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양측은 협약을 통해 건강기능식품 분야에서 △생물소재 활용 연구 △소재 상용화 검증 및 사업 발굴 △ 생물소재 디지털 데이터 확보 등을 진행한다
지난해 1800여 종의 자생생물이 새롭게 추가돼 국가생물종이 5만8000여 종을 넘어섰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국가 생물자원 종합 목록 구축사업’을 통해 지난해 말 기준 1802종이 새로 추가돼 우리나라에서 확인된 자생생물 종 수가 5만8050종에 이른다고 7일 밝혔다.
구체적으로 척추동물 2074종과 △무척추동물 3만 867종 △식물 56
유아부터 고등학생까지 생물다양성과 생물자원의 중요성을 배우고 관련 분야 업무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교육의 장이 열린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NIBR)은 2023년 1학기 '생물다양성 교육' 과정 참가자를 내달 15일까지 모집한다고 13일 밝혔다.
참여를 원하는 단체는 14일부터 국립생물자원관 홈페이지(www.nibr.go.kr)에서 신청서를 내려받
정부 국립기관이 인공지능(AI)으로 신규 항균 펩타이드를 발굴하는 데 성공했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동국대 성정석·장원희 교수 연구진과 새로운 항균 펩타이드를 발굴할 수 있는 AI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 예측 모델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진은 이번 AI 기반 예측 연구를 통해 복잡한 실험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컴퓨터 예
◇산업통상자원부
24일(월)
△통상교섭본부장 국외출장(헝가리, 리투아니아, 체코)10. 24 ~ 10. 29
△한-GCC 자유무역협정 제6차 공식협상 개최
△전원·데이터 접속(USB-C) 기준 국가표준 된다
△통상교섭본부장, 동유럽 3개국 방문을 위해 출국
△3기 소부장 으뜸기업 선정 추진
△한·중 전자상거래 협력 포럼 및 상담회 개최
△‘
전통주를 빚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국산 양조용 효모 6종이 발굴됐다. 수입에 의존하는 제빵용 효모를 대신하고, 전통주의 정통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과 국세청 주류면허지원센터는 공동연구를 거쳐 수입 효모를 대체할 주류 전용 토종 효모 6균주를 발굴했다고 15일 밝혔다.
효모는 술맛과 향기에 핵심 역할을 하는 요
국내 연구진이 자생 무당개구리를 활용해 호흡기 질환을 연구할 수 있는 연구법을 개발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자생 무당개구리의 배아 섬모상피세포(코안·후두·기관지 등의 표면에서 유래한 세포)로 호흡기 독성물질을 탐지하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지난해 3월부터 국립생물자원관과 박태주 울산과학기술원 교수 연구진이 공동으로 진행했다.
한반도 생물다양성 정보를 가상 체험으로 볼 수 있는 서비스가 마련된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정보화전략계획을 수립해 올해 말부터 각종 생물다양성 정보를 메타버스 기반의 디지털 융·복합 서비스로 제공한다고 17일 밝혔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010년도부터 운영 중인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홈페이지에 공개된 300만 건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