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케이락이 석유ㆍ가스 분야 ASME 인증을 비롯해 미국석유협회 API 6A, 6D, 6DSS 규격 인증을 확보하고 현지 합작사를 통해 대응에 나서고 있다.
특히 미국 방산 인증도 확보한 디케이락은 유럽 방산 분야 진출을 위해 나서고 있다.
5일 디케이락 관계자는 “석유ㆍ가스 피팅, 밸브 등 제품들에 대해 미국 석유인증 API 규격을 국제표준에 맞춰
한화시스템은 작년 매출 2조8037억 원, 영업이익 2193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4.3%, 78.9% 증가했다고 7일 밝혔다. 방산부문의 수출 호조와 ICT부문의 대외 사업 확대가 주효했다.
올해도 한국형 전투기(KF-21) AESA레이다 최초 양산, 천궁-II 다기능 레이다(MFR) 중동 수출 등으로 호실적을 이어갈 전망이다.
‘IDEX 2025’, 내달 17일 개최중동ㆍ아프리카 최대 규모“올해도 K-방산 성장세 지속”
국내 주요 방위산업 기업들이 중동 최대 전시회에 대거 참가해 K-방산의 우수성과 저력을 세계에 알린다. 국정 공백 장기화 상황에서도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정부 재출범으로 맞은 호기를 놓치지 않겠다는 복안이다. 뛰어난 가성비와 빠른 납기를 무기 삼아 글로벌 경쟁
인공지능(AI)을 통한 해킹으로 납세자의 과세정보를 공격할 가능성이 커지자 정부가 사이버 보안관제 시스템을 구축, AI 해킹공격을 AI로 방어한다.
국세청은 해킹 등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납세자의 과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AI 기반의 사이버 보안관제 시스템을 구축하고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고 10일 밝혔다.
국세청은 2003년 보안관제 시스템을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방위사업청과 한국형 전투기 KF-21 최초양산 항공기에 대한 성과기반 군수지원(Performance Based Logistics) 계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PBL 계약은 지난 6월 계약을 체결한 최초 양산 물량을 대상으로 한다. 계약 금액은 1243억 원 규모로 기간은 2027년 12월까지 3년이다.
KAI는
핵심역량ㆍ효율경영 강화에 초점“항공우주 새역사 써 내려 갈 것”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뉴 에어로스페이스(New Aerospace) 시대를 준비하고 수출 및 양산 물량 확대를 통한 퀀텀 점프와 비전 2050 실현을 위해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조직 개편은 경쟁력 강화 TF 결과에 따라 수출ㆍ개발ㆍ생산의 핵심역량 및 효율경영 강
한국항공우주산업(KAI)는 10월 1일 창사 25주년을 맞아 사천 본사에서 기념식을 가졌다고 30일 밝혔다.
기념식에는 강구영 사장을 비롯해 부문별 임직원과 박동식 사천시장, 이계훈ㆍ박인호 전 공군참모총장, 주요 고객 등 총 400여 명이 참석했다.
강 사장은 기념사에서 “지난 25년간 대내외 고객들의 지원과 응원이 있었기에 글로벌 항공우주 회사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국산 항공기 수출시장 확대에 나섰다.
KAI는 25일부터 27일(현지시간)까지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리는 ‘ADAS(Asian Defense & Security) 2024’에 참가했다고 25일 밝혔다.
ADAS는 필리핀 최대 규모의 국방 및 보안 부문 육ㆍ해ㆍ공 통합 방산 전시회로 2016년부터 격년으로 개최해 올해 5회째를
한국형 전투기 KF-21 ‘보라매’의 공동 연구개발국인 인도네시아의 체계개발 분담금이 기존 1조6000억 원에서 6000억 원으로 축소됐다.
방위사업청은 16일 제163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방추위)를 열고 KF-21 공동개발 분담 비율 조정 및 후속 조치 계획안을 의결했다.
무장을 제외한 KF-21 개발비는 8조1000억 원으로, 한국 정부와 한국항
윤석열 대통령은 제79주년 광복절을 맞이한 15일 김건희 여사와 함께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79주년 광복절 경축식에 참석했다. 여당인 국민의힘 인사들은 참석했으나, ‘친일 뉴라이트’ 논란 속 야당 대다수와 광복회의 불참으로 경축식은 ‘반쪽’으로 마무리됐다.
윤 대통령과 김 여사는 이날 오전 10시 세종문화회관에서 ‘되찾은 나라, 위대한 국민,
KAI, KF-21 20대와 후속지원 등 1조9000억 원 규모... 2026년 말 전력화 추진개발 80% 진행 전투기 성능 및 안정성 입증, 산학연 원팀 노력 결과한화시스템, 국내 기술로 만든 AESA 레이다 양산 계약
한국형전투기 KF-21이 2026년 말 한국 공군의 전력으로 합류한다.
KAI(한국항공우주산업)는 25일 방위사업청과 한국형전투기
국내 최초 항공기용 AESA 레이다 전력화계약 규모 약 1100억 원, 2025년 8월부터 KF-21 탑재
순수 우리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항공기용 AESA 레이다가 전력화에 돌입했다.
한화시스템은 방위사업청과 한국형 전투기(KF-21)에 탑재될 AESA 레이다 최초양산 계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계약 규모는 약 1100억 원으로, 2025년 8월
KF-21 20대, 후속지원 등 1조9000억 원 규모... 2026년 말 전력화 추진개발 80% 진행 전투기 성능 및 안정성 입증, 산학연 원팀 노력 결과
KAI(한국항공우주산업)는 25일 방위사업청과 한국형전투기 KF-21 최초 양산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은 KF-21 총 20대와 후속군수지원(기술교범, 교육 등)을 포함해 총 1조96
한화시스템은 국방과학연구소가 주관하는 ‘무인편대기용 능동위상배열(AESA) 레이다 기술개발’ 과제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한화시스템은 2026년 말까지 한국형 전투기(KF-21)와 복합 운용할 수 있는 무인편대기에 최적화된 AESA 레이다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무인편대기용 AESA 레이다의 핵심은 소형ㆍ경량화다. 한화시스템은
국산 전투기용 능동위상배열(AESA) 레이다의 해외 수출을 위한 한화시스템과 유럽연합(EU) 방산 회사 레오나르도(Leonardo S.p.A.)의 협력이 본격화된다.
한화시스템은 13일(현지시간) 레오나르도와 ‘경공격기(Light Combat Aircraft) AESA 레이다’ 안테나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레오나르도는 항공기뿐 아니라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올해 1분기 매출 7399억 원, 영업이익 480억 원의 실적을 달성했다고 30일 밝혔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전년 동기 대비 30.1%, 147.4% 증가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18.5% 늘었다.
이번 실적은 안정적인 국내사업 추진과 해외사업 확대, 기체구조물 사업 회복세와 미래사업 실적 등 KAI의 다양한 사업
한화시스템은 1분기 매출 5444억 원, 영업이익 393억 원, 당기순이익 503억 원을 달성했다고 26일 밝혔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전년 동기 대비 23.9%, 218.1%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72.8% 감소했다.
방산 부문은 폴란드 K2 사격통제시스템ㆍUAE 천궁-II 다기능레이다(MFR)ㆍ전술정보통신체계(TICN) 4차 양산 등 굵직한 수
한화시스템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2조4531억 원, 영업이익 929억 원을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전년 동기 대비 12.1%, 137.6% 증가했다. 당기 순이익은 3431억 원을 기록해 흑자 전환했다.
한화시스템의 실적 개선은 방산 부문의 수출 및 대규모 양산 사업과 ICT 부문의 차세대 ERP 통합 솔루션 및 대외 금융
“글로벌 시장의 우주산업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는 만큼 대한민국 자체 기술 확보와 독자적인 밸류체인 구축으로 뉴 스페이스 시대를 열어가겠습니다”
김동관 한화 김동관 부회장이 18일 ‘서울 국제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3’의 한화 통합부스를 방문해 차세대 전투기 엔진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부회장은 이날 전시장을 방문해 한국형
윤석열 대통령은 올해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서울 ADEX)를 찾아 "우리 방위산업은 무에서 유를 창조하며 새로운 역사를 써 가고 있다. 원조와 수입에 의존했던 나라가 이제는 최첨단 전투기를 만들어 수출하는 수준으로 도약했다"며 한국 방산 수준에 대해 추켜세웠다.
1996년 '서울에어쇼'로 시작해 올해 14번째를 맞이한 서울 ADEX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