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간 질환 전문가들이 국제 학계에서 영향력을 강화하고, 간 질환 연구·치료를 선도하겠단 포부를 밝혔다.
대한간학회와 한국간담췌외과학회, 대한간암학회, 대한간이식학회 등 4개 학회는 28일 오후 서울 광진구 그랜드워커힐 호텔에서 학술대회 ‘더 리버 위크 2024(The Liver Week 2024)’를 개최하고 최근 학회 소속 연구진들의 성과를 공유
동아에스티(Dong-A ST)와 자회사 뉴로보 파마슈티컬스(NeuroBo Pharmaceuticals)는 오는 6월5일부터 8일까지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개최되는 유럽간학회(EASL 2024)에서 대사이상관련지방간염(MASH) 치료제 후보물질 ‘DA-1241’의 전임상 연구 결과를 포스터 발표한다고 24일 밝혔다.
EASL은 유럽을 대표하는 간 관련 학회로
동아에스티와 자회사 뉴로보 파마슈티컬스(NeuroBo Pharmaceuticals)는 다음 달 5일(현지시간)부터 8일까지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개최되는 ‘유럽간학회(Europ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2024, EASL Congress 2024)’에서 ‘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Metabolic dysfu
보령이 지난달 2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세계 최초 조합의 당뇨복합제인 ‘트루버디’에 대한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5일 밝혔다.
트루버디는 SGLT-2 억제제 계열의 다파글리플로진 성분과 치아졸리딘디온(TZD) 계열의 피오글리타존을 결합한 개량신약이다. 이번에 품목허가를 받은 제품은 '트루버디정' 10/30㎎‘과 ‘트루버디정 10/15㎎’으로, 두 성분
고바이오랩이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유래 바이오마커 기반 비알코올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진단법에 대한 러시아 특허가 등록됐다고 17일 밝혔다.
NAFLD는 단순한 지방증(steatosis)에서 시작해, 진행성 섬유증 및 간경변 등을 유발시키는 비알코올 지방간염(non-alcoholic ste
키움증권은 21일 한미약품에 대해 유럽 간 학회(EASL)에서 이중 작용제 EFI가 구두 발표로 선정되면서 모처럼 동사의 신약 파이프라인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고 마일스톤 유입으로 인한 호실적 역시 긍정적이라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37만 원에서 40만 원으로 8.01% 상향 조정했다. 전 거래일 기준 현재 주가는 31만4000
유안타증권은 24일 한미약품에 대해 ‘내년에도 외형 성장이 지속될 것’이라며 ‘매수’를 추천했다. 목표주가는 25만9000원을 유지했다.
하현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로수젯과 북경 한미의 성장은 내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한다”며 “고지혈증 시장에서 스타틴 및 에제티미브가 표준 요법이 되고 있어 국내 고지혈증 시장에서 복합제 비중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
동아에스티는 미국 당뇨병학회(ADA 2022)에서 당뇨병 치료제 후보물질 ‘DA-1726’의 전임상 연구 결과를 포스터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ADA 2022는 지난 3일부터 7일까지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개최됐다.
동아에스티는 이번 발표를 통해 DA-1726의 체중 감소와 비알콜성지방간염(NASH) 치료제로의 가능성을 소개했다.
DA-1726은 옥신토
동아에스티는 비만 및 당뇨치료제로 개발 중인 신약 후보물질 ‘DA-1726’이 세마글루타이드 대비 우수한 체중 감소 효과를 보였다는 비임상 연구 결과를 미국 현지에서 발표했다.
동아에스티는 3일부터 7일(현지시간)까지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개최된 제82회 미국 당뇨병학회(ADA,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에서 신약 후보물질 ‘D
신약개발 기업 엔지켐생명과학이 13일 열린 비알코올성지방간염 치료제 전문학회인 ‘2021 NASH-TAG’ 컨퍼런스에서 연구성과를 발표했다고 16일 밝혔다.
NASH-TAG는 NASH(비알코올성지방간염) 연구원들과 임상의, 글로벌 빅파마와 산학병연 협력 체계를 구축해 해당 질환의 진단방법, 신약개발 동향, 임상결과 보고, 혁신의료 기술 등의 연구 정보를
한미약품은 랩스트리플아고니스트(LAPS Triple Agonist·HM15211)의 임상 및 전임상 연구 결과를 유럽간학회(EASL) 국제 간 학술대회(ILC)에서 발표한다고 18일 밝혔다.
올해 EASL ILC는 코로나19 여파로 27일부터 29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한미약품은 랩스트리플아고니스트의 임상 및 전임상 연구 결과 3건을 포스터 및
한미약품은 오는 27일 온라인으로 개최되는 유럽간학회 국제 간 학술대회(EASL ILC)에서 비알콜성 지방간염 치료제(NASH) 'LAPSTriple Agonist(HM15211)'의 임상(2a상) 및 전임상 연구 결과 3건을 발표한다고 18일 밝혔다.
먼저 한미약품은 LAPSTriple Agonist 임상 2a상 연구결과를 듀크대학교 마날 압델말렉(M
한미약품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한미약품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치료 혁신신약 랩스트리플아고니스트(LAPS Triple Agonist·HM15211)를 패스트트랙으로 지정했다고 16일 밝혔다.
FDA는 심각하거나 생명에 위협을 가하는 질환에 우수한 효능을 보이는 신약에 대해 면밀한 심사 후 신속히 개발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해당
한미약품은 미국 식품의약품안전국(FDA)이 NASH(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 혁신신약 'LAPSTriple Agonist(HM15211)'를 패스트트랙(Fast Track)으로 지정했다고 16일 밝혔다.
FDA는 심각하거나 생명에 위협을 가하는 질환에 우수한 효능을 보이는 신약에 대해 심사 후 신속히 개발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해당 의약품을 패스
압타바이오는 간질환 치료제 관련 러시아 특허를 취득했다고 4일 공시했다. 회사 측은 "피라졸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 치료제에 관한 것"이라며 "본 특허기술은 지방간, 간염증 및 간섬유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NAFLD, 특히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한미약품은 비알코올성지방간염(NASH) 치료 혁신신약 후보물질 ‘랩스 트리플 아고니스트(LAPSTriple Agonist·HM15211)’가 글로벌 제약기업의 주목을 받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지난달 미국에서 열린 JP모건 컨퍼런스에서 다수의 글로벌 제약기업들이 랩스 트리플 아고니스트 연구 결과에 대해 많은 관심을 표명했으며, 향
바이오일레븐이 자사의 고농도 프로바이오틱스 원료인 ‘드시모네 포뮬러’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AFLD) 개선에 유익한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바이오일레븐에 따르면 최근 인도 아자이 두세자(Ajay Duseja) 교수 연구팀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을 앓고 있는 39명의 환자들을 A, B 두 그룹으로 나눠 생활습관의 개선과 함께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