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책을 읽는 공간 중의 하나인 지하철에서 어느 시점부터 책 읽는 사람 보기가 어려워졌다. 스마트 폰이 보편화되기 전에는 책을 보던 모습이 자주 보였는데 점차 줄어들더니 요즈음은 거의 볼 수 없는 경우에 이른 것이다. 우리사회가 소득의 양극화를 언급하지만 책읽기의 양극화도 있지 않나 생각해본다.
예전보다 많이 좋아진 공공도서관과 함께 독서인구도 늘고 많은 책을 읽는 이도 분명 많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생활속에서 책 읽는 모습의 부재가 우리사회의 성숙하지 못한 모습이 한 요인이 아닌가 하는 안타까움의 생각에도 미치게 된다.
우리사회는 한때 자기계발서의 범람의 흐름 뒤에 이제 인문학을 읽자는 독서문화의 발전도 이뤄지고 있다. 우리는 부의 귀족은 이룰 수 없을지라도 누구나 생각의 귀족은 이룰 수 있고, 책 읽기의 자기 변화로 멋진 삶을 이룰 수 있는 시대가 아닌가 한다.
우리사회의 여러 가지 힘든 삶이 여유 있는 책 읽기를 어렵게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책 읽기는 습관이고 문화이다. 책 읽기의 문화가 우리 삶의 질을 살찌우는 것이 아닐까. 책은 길어진 삶의 길에 자기의 주체적인 삶의 갈 길을 발견하고 발명하고 발전시킬 행운을 줄 수 있는 길잡이다.
우리 인생의 새로운 변화는 사람에 따라 다를 것이지만 독서, 여행, 사람과의 만남 등이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이 중 일상적인 삶속에서 자기 주도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책 읽기일 것이다. 카프카는 책읽기는 “얼어붙은 바다를 깨는 도끼”라고 했다. 추운 겨울 많은 사람들에게 얼어붙은 마음을 깨는 도끼 같은 책과의 만남이 있길 소망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