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대형 재난안전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첨단과학기술을 활용한 혁신방안을 마련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6일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개최된 제16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재난안전 대응을 강화하기 위한 '과학기술을 활용한 효과적인 재난 대응' 대책을 발표했다.
이는 비파괴검사기술을 활용한 국토 전역의 싱크홀 위험지도 작성(미국), 인공위성을 활용한 쓰나미 실시간 감시시스템 구축(일본) 등 전 세계 사례를 벤치마킹 한 결과로 우리의 강점인 정보과학기술(ICT)을 적극 활용해 재난대응을 고도화하고 재난안전산업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겠다는 방침이다.
우선 미래부는 실시간 재난감지를 위해 안전진단센서, 지능형CCTV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는 교량, 터널 등 노후화 된 국가 기반시설에 안전진단센서 시스템 설치를 확대해 재난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고 재난 자동감지가 가능한 지능형 CCTV를 통해 사고징후의 현장감시를 강화하겠다는 전략이다.
또 맞춤형 재난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을 통해 재난 피해를 사전에 예측하고 피해를 최소화해 재해예측 정확도를 지난해 50% 수준에서 2017년까지 70%까지 높여 나갈 계획이다.
복구 단계에서는 2017년까지 재난용 무인기, 재난안전 로봇, 개인방호 스마트 장비 등 첨단 구난장비를 재난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조선, 자동차 등 국내강점 산업에 안전기술을 접목해 새로운 제품·서비스를 창출, 글로벌 경쟁력도 확보할 계획이다.
아울러 정부연구개발 투자를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핵심 원천기술을 개발해 재난안전산업 기술경쟁력을 2017년까지 8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다.
최양희 미래부 장관은 “재난안전 주무부처로 새로이 출범한 국민안전처와 협조해 과학기술 기반의 재난대응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핵심기술 개발을 통해 재난안전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날 자문회의에서는 과학기술을 활용한 농업분야 혁신방안에 대한 핵심전략 발표도 이뤄졌다.
자문회의는 △농업 생산성 향상 △부가가치 창출 △개방형 혁신 전략 등 3가지 핵심전략과 이를 위한 5가지 실천과제를 제안했다.
우선 핵심기술을 국산화해 한국형 스마트팜 모델을 확산하고 우리 농업환경에 최적화된 기술을 개발해 아시아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을 확대한다.
채산성 등으로 민간 상용화가 저조한 밭농업 기계에 대해서는 출연(연) 보유기술을 활용해 노동부담을 낮출 수 있는 소형·저가 농기계를 긴급 실용화할 방침이다.
또 에너지화가 저조한 농산 부산물을 바이오매스․화학물질 등 새로운 부가가치원으로 활용하고 지역 창조경제혁신센터와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을 연계한 농업전문 벤처도 확산하겠다는 목표다. 개방형 민·관 협력을 통한 연구개발(R&D) 혁신도 과제에 포함돼 있다.
자문회의 관계자는 "농업 혁신전략의 차질없는 이행을 통해 2017년까지 스마트팜을 8000농가에 보급하는 등, 3년간 누적된 전체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5조700억원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