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란지교시큐리티, 사용자 편의성 강화한 ‘메일스크린 3.0 버전’ 출시

입력 2015-02-25 11: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모바일 APP 결재·DRM 복호화 연동 자동화·메일아카이빙 기능 등 새롭게 추가

보안 소프트웨어(SW) 전문기업 지란지교시큐리티는 25일 자사의 내부정보 유출방지솔루션인 ‘메일스크린’에 대한 수요가 증가, 지난해 약 130% 이상의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내부정보 유출방지·IT컴플라이언스 강화 이슈가 전 사업군으로 확장되면서 기존 금융권·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중견기업들의 어플라이언스 도입이 증가함에 따른 것이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이에 지란지교시큐리티는 이러한 시장의 변화에 맞춰 사용자 편의성을 강화한 메일 DLP 솔루션 ‘메일스크린 3.0 버전’을 출시했다.

메일스크린은 외부로 나가는 메일에 대해 내부 승인절차를 부여하고 중요메일을 암호화 및 차단해 메일을 통한 기업 중요정보 및 개인정보의 유출을 원천 차단하는 메일 DLP 솔루션이다. 기업들은 이 솔루션을 이용해 외부로 발신되는 메일을 사전에 필터링하고, 메일 본문이나 첨부파일에 중요 정보나 개인정보가 포함돼 있는 경우 결재권자의 승인이 이뤄져야만 메일을 발송할 수 있어 안전한 발신 메일 제어가 가능하다.

이번 3.0버전 업그레이드를 통해 메일스크린은 △모바일 APP 결재 △DRM 복호화 연동 자동화 △발신 메일 아카이빙 △다단 승인 기능을 새롭게 추가해 보안성 강화와 함께 사용자 편의성을 동시에 높였다.

사용자들은 외부에서도 모바일 APP을 통해 간편하게 결재가 가능할 뿐 아니라, DRM 사용 시 사용승인 후 자동으로 DRM 파일을 복호화해 전송할 수 있어 수신자의 번거로움을 덜어준다. 또 아카이빙 기능을 통해 최대 5년 간 발신메일을 보관할 수 있다.

윤두식 지란지교시큐리티 대표는 “이번 메일스크린 3.0 버전 출시를 기점으로 이메일 APT공격에 선제 대응을 위한 SpamSniper APT Edition, 메일아카이브 고도화도 진행해 상반기 내 순차적으로 출시할 예정”이라며 “앞으로도 보안 흐름의 변화와 시장 요구사항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기업의 니즈에 최적화된 통합 이메일 보안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지란지교시큐리티)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0명 중 8명 "하반기 경영여건 어렵다"…관치보다 '정치금융' 더 압박[금융사 CEO 설문조사]
  • K 붙은 식음료·뷰티 ETF 모두 잘 나가는데…‘이 K’는 무슨 일?
  • 예금자보호한도 상향 논의 재점화…올해는 바뀌나
  • "청약 기회 2년 날렸다"…공사비 급등에 또 취소된 사전청약 사업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313,000
    • +2.91%
    • 이더리움
    • 4,833,000
    • +1.6%
    • 비트코인 캐시
    • 554,000
    • +3.36%
    • 리플
    • 669
    • +0.6%
    • 솔라나
    • 205,900
    • +4.36%
    • 에이다
    • 552
    • +2.03%
    • 이오스
    • 811
    • +1.63%
    • 트론
    • 176
    • +0%
    • 스텔라루멘
    • 128
    • +0.7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350
    • +2.84%
    • 체인링크
    • 20,060
    • +5.41%
    • 샌드박스
    • 467
    • +1.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