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가 일주일도 채 남지 않은 가운데 기준금리의 조기 인상에 대한 신중론이 여전히 힘을 받고 있다. 미국은 물론 세계 경제 회복세가 아직 불안정한 기미를 보이고 있는 만큼 성급한 인상은 자제해야 한다는 분위기다.
대내외 리스크가 산적했지만 그 중 달러 강세는 금리인상 결정에 있어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10일(현지시간) 뉴욕외환시장에서 달러화는 초강세를 보이며 유로화 가치를 12년 만에 최저치로 끌어내렸다. 뿐만 아니라 멕시코, 브라질, 터키와 같은 경제 신흥국의 통화 가치도 밀어 내렸다.
문제는 이론적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통화량이 감소하면서 통화의 가치가 기존보다 오르게 된다는 점이다. 이미 달러화가 연일 강세를 띠고 있는 상황에 금리 인상으로 인한 후폭풍이 클 것이란 우려가 사그라들지 않는 것이다.
해외에서 큰 이익을 거두고 있는 기업들은 달러 가치 상승으로 현지에서 벌어들인 매출 규모가 급감하는 타격을 입었다. 제약업체 화이자의 경우 이 같은 여파를 고려해 올해 매출이 28억 달러나 줄어들 것이란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달러 강세는 이미 기업 실적뿐만 아니라 국제유가(WTI 기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배럴당 40달러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유가는 여전히 시장에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미국 경제지표가 확실히 기준금리 인상을 뒷받침하지 않는 점도 껄끄러운 상황이다. 지난달 미국 비농업부문 신규 일자리(29만5000건)와 실업률(5.5%) 등 고용지표는 시장의 전망을 웃돌면서 만족스러운 수치를 내놓았다. 그러나 소비자물가(CPI)나 생산자물가(PPI)는 올해 들어 아직 시장의 기대치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으며, 부동산 시장 회복세 역시 더디기만 하다.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얻을 수 있는 경제효과(소비촉진, 수요증가에 대한 기업활동 확산, 임금 상승, 부동산투자 활성화 등)를 기대하기에는 아직 경제환경이 정상궤도에 오르지 못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최근 연준 내에서 대표적 비둘기파로 분류되는 찰스 에반스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아예 반대했다. 에반스 총재는 “물가상승률이 아직 낮고, 글로벌 경제가 불확실한 환경에 금리를 조기에 인상하는 것은 위험 한 측면이 크다”며 “(기준금리 인상은) 더 인내심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