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상장은 주로 하반기에 집중됩니다. 1분기를 전후해 12월 결산을 마친 기업들이 상장조건을 갖추고, 이때부터 상장작업에 착수하게 됩니다. 상장을 위한 준비기간이 필요하다 보니 하반기에 상장이 집중되는 것입니다.
거래소도 이 기간, 그러니까 요즘 들어 바빠지기 시작했습니다. 거래소 이사장이 연초부터 직접 상장 목표치를 천명한 만큼 유가증권과 코스닥본부는 각각 목표치를 채우기 위해서라도 부지런히 상장 지원에 나서고 있는 양상입니다.
이런 맥락에서 준비한 제도개선이 ‘기술특례상장’입니다. 기술특례상장제도는 기술력이 뛰어난 유망 기술기업이 이 기술평가를 거쳐 코스닥시장에 원활히 진입할 수 있도록 만든 제도입니다. 2005년 도입됐으니 10년째를 맞고 있습니다.
다만 이 제도의 문턱은 너무도 높았습니다. 한국거래소는 이참에 유망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이 원활하게 코스닥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기술특례상장제도를 개선했는데요. 4월 말부터 시행할 예정이니 상장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는 5월부터는 효과를 톡톡히 낼 것으로 기대됩니다.
가장 먼저 전문 기술평가기관의 기술평가 부담이 완화됩니다. 기술평가기관의 선정부터 결과 통보까지 걸리는 기간이 기존에는 2개월을 넘었지만 이제 4주로 단축됐지요. 기술평가 수수료 역시 1건당 150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대폭 줄었습니다.
이 같은 제도 개선에 발맞춰 한국거래소 역시 바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거래소 이사장이 직접 게임업체를 찾아가 상장을 권유하기도 했습니다. “자금 조달 필요성이 있고 성장 전망이 있는 만큼 코스닥시장에 상장해 줬으면 좋겠다”며 상장 유치에 나선 셈이지요.
다만 이 과정에서 몇 가지 우려가 나왔습니다. 한때 사건사고가 연루된 기사를 취재하다 보면 종종 따라오는 사례가 있었는데요. 바로 ‘기관장 현장점검 한 달 만에 사고발생’이 대표적입니다. 예컨대 장관 또는 지자체장이 안전점검에 나선 공사현장들이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었던 것이지요.
증권가에서는 이번 사례 역시 같은 맥락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잘되면 다행이지만 자칫 우려스러운 결과가 이어질지 모르는 일이니까요.
거래소 이사장이 직접 회사를 방문해 상장을 권유했던 곳에 대한 우려도 여기에서 나옵니다. 이사장의 행보가 이어진 만큼 투자자의 관심은 집중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무엇보다 이 회사의 주요 관계자가 한국거래소 출신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짜고 치는 고스톱 아니냐”라는 우려의 목소리까지 증권가 안팎에 이어지고 있습니다.
거래소 이사장이 직접 상장을 권유한 회사가 상장에 실패될 가능성이 얼마나 될까요.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이 결코 특혜 상장으로 이어지지 않기를 바랄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