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제112차 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우리은행 민영화 추진방향을 심의·의결했다. 우선 정부는 30% 이상 지분을 묶어 파는 경영권 지분 매각방식 뿐 아니라 과점주주 매각방식을 병행키로 했다.
박상용 공자위 위원장은 “그동안 수요점검 결과 경영권지분 매각은 쉽지 않다는 것이 확인됐다”며“과점주주가 되고자 하는 수요가 일부 존재해 이를 공론화시켜 더 많은 수요를 발굴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과점주주 매각 방식은 특정 기관에 경영권을 넘기지 않고 몇몇 주주에게 지분을 쪼개 파는 것이다. 높은 가격을 제시한 순으로 각자 희망하는 물량을 배분하는‘희망수량 경쟁 입찰 방식'으로 진행된다. 과점주주군을 형성하는 취지를 고려해 경영권 총 매각 물량은 경영권 행사 가능 규모인 30% 이상이 되도록 설정했다.
앞서 우리은행과 박상용 공적자금관리위원장은 유럽과 중동에서 투자설명회(NDR)를 열고 해외 기관들로부터 재무적투자자(FI)로 참여할 수 있는지 태핑(예비조사)을 벌였다. 이에 일부 기관으로부터 과점주주 수요를 확인했다.
정부가 결국 경영권 매각보다 과점주주 방안을 선순위로 올린 이유는 인수자를 찾는게 어렵기 때문이다.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경영권을 포함한 통매각, 분리매각을 네번이나 시도했지만 번번히 실패했다.
임기 내 민영화 달성 약속한 이광구 행장도 과점주주 방식을 염두해 두고 취임 직후부터 영업력 강화, 건정성 개선 등 기업가치 제고에 주력했다.
정부는 30~40%는 과점주주나 경영권 지분 매각 방식으로 진행하고 나머지 지분(최대 18.07%)는 별개의 매각 작업을 거칠 예정이다.
박 위원장은 “최대 18.07%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잔여지분은 민영화에 따른 기업가치 상스을 향유하기 위해 당분간 보유할 것”이라며 “공적자금의 조기 회수를 달성하기 위해 시장상황을 보아가며 신속하게 매각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은행 매각 일정은 정해진 바가 없다"며 "8월 회의를 통해 다시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정부는 매각에 앞서 우리은행의 기업 가치를 끌어올리고자 경영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기로 했다. 예금보험공사와 맺은 ‘경영정상화 이행 약정(MOU)'’ 관리지표를 조정하거나 변경하는 방식을 검토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