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생각] 7월 22일 口耳之學(구이지학) 입과 귀로만 하는 엉터리 공부

입력 2015-07-22 10: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제대로 배워서 아는 사람은 옛일을 널리 알고 현재의 일에도 두루 통한다. 바로 박고통금(博古通今)이다. 이와 달리 배운 것을 남에게 전하기만 할 뿐 제 것으로 만들지 못하는 공부가 있다. 학문을 입과 귀로만 하는 구이지학(口耳之學)이다. 순자(荀子) 권학편(勸學篇)에 이렇게 씌어 있다. “(구이지학은) 소인의 학문이다. 귀로 들은 것이 입으로 나온다. 입과 귀 사이는 네 치일 뿐이다. 어찌 일곱 자의 몸에도 채우지 못하는가.”[小人之學也 入乎耳出乎口 口耳之間則四寸耳 曷足以美七尺軀哉]

구이지학과 비슷한 말이 기문지학(記問之學)이다. 옛글을 외운 다음 배우는 자의 질문을 기다리는 것이다. 이런 사람은 아는 데 한계가 있고 남의 스승이 되기에 부족하다[記問之學 不足以爲人師]. 예기 학기(學記)에 나오는 말이다. 스승과 질문에 관해 논한 대목인데, 記聞之學이라고 표기한 자료도 있지만 원전은 그게 아니다.

이에 앞서 “물음에 잘 대답하는 자는 북을 두드리는 것과 같아서 작은 것으로 두드리면 작게 울고 큰 것으로 두드리면 크게 운다”는 말이 나온다. 기문지학은 외워서 읊기만 하는 기송지학(記誦之學)과 같은 뜻이다.

논어 양화(陽貨) 편에 나오는 도청도설(道聽塗說)도 비슷한 말이다. 공자는 “길에서 들은 것을 길에서 옮기는 것은 덕을 버리는 것”[孔子曰 道聽塗說 德之棄也]이라고 했다. 좋은 말을 마음에 간직해 수양하지 않고 바로 남에게 말하는 것이 구이지학과 다를 바 없다.

춘추시대 제 나라의 재상 관중의 언행을 기록한 ‘관자(管子)’에는 비이장목(飛耳長目)이라는 말이 나온다. 문자 그대로 먼 곳의 일을 잘 보고 사물을 깊이 관찰하며 널리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 학문을 하는 자세와 방법으로 새길 만하다. 장목비이(長目飛耳)라고 앞뒤를 바꿔 쓰기도 한다. 장목은 눈을 크게 부릅뜨는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부모-자녀 한 동네 사는 실버타운 만든다더니…오세훈표 '골드빌리지' 무산
  • 오늘은 '소설' 본격적인 겨울 준비 시작…소설 뜻은?
  • 총파업 앞둔 철도노조·지하철노조…오늘도 태업 계속 '열차 지연'
  • 유병재, 열애설 상대는 '러브캐처4' 이유정?…소속사 측 "사생활이라 확인 불가"
  • "아이 계정 삭제됐어요"…인스타그램의 강력 규제, '진짜 목표'는 따로 있다? [이슈크래커]
  • 근무시간에 유튜브 보고 은행가고…직장인 10명 중 6명 '조용한 휴가' 경험 [데이터클립]
  • 고양 소노 감독 폭행 사건…'사상 초유' KBL에 징계 맡겼다
  • '남녀공학 논의 중단' 동덕여대-총학 합의…보상 문제는?
  • 오늘의 상승종목

  • 11.22 10:0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297,000
    • +2.58%
    • 이더리움
    • 4,635,000
    • +6.5%
    • 비트코인 캐시
    • 677,000
    • +7.8%
    • 리플
    • 1,829
    • +16.65%
    • 솔라나
    • 355,200
    • +5.87%
    • 에이다
    • 1,169
    • +3.63%
    • 이오스
    • 934
    • +5.54%
    • 트론
    • 278
    • +0.36%
    • 스텔라루멘
    • 392
    • +14.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93,700
    • -5.35%
    • 체인링크
    • 20,720
    • +2.02%
    • 샌드박스
    • 481
    • +1.6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