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생각] 12월 8일 柳絮梨花(유서이화) 버들솜 같고 배꽃 같은 백설

입력 2015-12-08 10: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눈은 오지 않지만 눈 이야기를 더 해보자. 눈에 관한 글로는 독문학자였던 수필가 김진섭(金晉燮•1903~?)의 ‘백설부(白雪賦)’가 인상 깊다. 1939년에 발표된 이 글은 “백설이여, 잠시 묻노니 너는 지상의 누가 유혹했기에 이곳에 내려오는 것이며, 또 너는 공중에서 무질서의 쾌락을 배운 뒤에 이곳에 와서 무엇을 시작하려는 것이냐! 천국의 아들이요, 경쾌한 족속이요, 바람의 희생자인 백설이여, 과연 뉘라서 너희의 무정부주의를 통제할 수 있으랴”라고 눈을 예찬하고 있다.

내리는 눈을 어떻게 묘사할까? 눈은 시심을 자극한다. 중국 동진(東晉)의 재상 사안(謝安)이 아이들에게 “백설이 분분히 내리는 게 무엇과 같으냐?”[白雪紛紛何所似] 하고 물었다. 형의 아들 호아(胡兒)는 “공중에 소금을 뿌리는 것과 비길 만합니다”[撒鹽空中差可擬]라고 했다. 그러자 질녀 사도온(謝道韞)이 “버들솜이 바람에 나는 것만 못합니다”[未若柳絮因風起]라고 했다. 사안이 질녀를 칭찬했다. 세설신어(世說新語) 언어편에 나온다.

조선의 선비 옥담(玉潭) 이응희(李應禧•1579~1657)는 ‘병중에 눈을 만나’[病中遇雪]라는 시에 사도온의 말을 인용했다. “육화가 날아 이리저리 흩뿌리니/ 보이는 곳마다 기이한 자태 각각일세/바람에 춤추며 날리는 버들솜이 뜰을 채우는 듯/나무에 가득한 배꽃이 유달리 환히 핀 듯(하략)”[六花飛飛斜更橫 奇姿看處各殊形 因風柳絮盈庭舞 滿樹梨花特地明]

‘나무에 가득한 배꽃’은 당(唐) 시인 잠삼(岑參)의 ‘백설가송무판관귀경(白雪歌送武判官歸京)’에서 따온 표현이다. “대지에 북풍이 세차게 불어 백초가 꺾이니/오랑캐 하늘 팔월에 눈이 날린다/홀연 하룻밤 새 봄바람 불어와/천만 그루 나무에 배꽃이 핀 듯하네”[北風捲地白草折 胡天八月即飛雪 忽如一夜春風來 千樹萬樹梨花開]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리 아이, 잘 발달하고 있을까?…서울시 ‘영유아 무료 발달검사’ 받으려면 [경제한줌]
  • 어도어-뉴진스 전속계약 소송 첫 변론...“합의 희망” vs “그럴 상황 아냐”
  • 탄핵 선고 앞둔 헌재, 이웃들은 모두 짐 쌌다 [해시태그]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폭싹 속았수다'서 불쑥 나온 '오나타', '○텔라'…그 시절 그 차량 [셀럽의카]
  • 탄핵선고 하루 앞으로...尹 선고 '불출석', 대통령실은 '차분'
  • 트럼프, 한국에 26% 상호관세 발표...FTA 체결국 중 최악
  • 발매일ㆍ사양ㆍ게임까지 공개…'닌텐도 스위치 2'의 미래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048,000
    • -4.68%
    • 이더리움
    • 2,651,000
    • -5.36%
    • 비트코인 캐시
    • 440,000
    • -4.62%
    • 리플
    • 2,979
    • -7.08%
    • 솔라나
    • 169,900
    • -12.2%
    • 에이다
    • 936
    • -8.5%
    • 이오스
    • 1,233
    • +2.24%
    • 트론
    • 349
    • -0.85%
    • 스텔라루멘
    • 376
    • -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450
    • -7.38%
    • 체인링크
    • 18,660
    • -9.99%
    • 샌드박스
    • 384
    • -6.3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