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베르트 슈바이처 명언
“삶을 바라보는 방식이 나의 운명을 결정한다.”
아내와 프랑스령 적도아프리카(현재 가봉공화국)에 정착해 의료 봉사활동을 전개한 의사. 그는 신학자로서는 종말론적 요소를 강조했고, 철학가로서는 칸트를 연구했으며, 독자의 윤리관인 ‘생명의 경외’를 주장했다. 음악가로서는 뛰어난 오르간 연주가였을 뿐 아니라 오르간 개량에도 큰 업
☆ 린다 배리 명언
“사랑은 우리가 원해서 피우는 폭발하는 시가이다.” 대학 신문에 발표한 주간 만화 어니 푹스 코멕(Ernie Pook’s Comek)으로 많이 알려진 미국의 만화가. 그녀는 연극으로 각색된 두 소녀 사이의 인종 간 우정에 관한 삽화 소설 ‘좋은 시절이 나를 죽이려 해(The Good Times are Killing Me)’로 주목받았다
☆ 르네 데카르트 명언
“책을 읽는다는 것은 과거 가장 뛰어난 현인과 대화를 나누는 것이다.”
프랑스 철학자, 수학자다. ‘근대철학의 아버지’라 불리며 합리주의 철학의 길을 연 그는 엄밀한 논증적 지식인 수학에 근거해 형이상학, 의학, 역학, 도덕 등 학문 전체를 ‘보편학’으로 정립하려 했다. 사유의 내용은 의심할 수 있어도 사유한다는 사실과 사유 주체
☆ 휴버트 험프리 명언
“인생 최고의 선물은 바로 우정이며, 나는 이미 받았다.”
미국의 38대 부통령. 1960년 대선 경선에서 존 F. 케네디에게 패배한 그는 린든 B. 존슨 대통령의 2기 행정부에서 부통령으로 재임했다. 1968년 대선에 민주당 대선후보로 나서 리처드 닉슨에게 패배했다. 정계를 떠났던 그가 1970년 중간선거에 출마해 연방 상원의원
☆ 아르네 야콥센 명언
“빵은 아름답게 보일 때 가장 맛있다. 만일 그것이 보기가 좋으면 어떤 것도 상관하지 않는다.”
덴마크의 건축가. 르코르뷔지에로 대표되는 국제합리주의 건축을 지향한 그는 코펜하겐 교외 벨비스타의 주택단지와 오프스 시청사 등을 설계했다. 제2차 세계대전 후에 건축한 에스페르슨 회사 빌딩, 마천루인 SAS빌딩 등은 그의 대표작. 그는
☆ 프랑소아 페넬롱 명언
“모든 사람은 형제이므로 모든 전쟁은 내전이다.”
프랑스의 성직자. 왕손(王孫)의 교사였던 그가 지은 교재 ‘텔레마크의 모험’은 고전주의 걸작으로 꼽힌다. 그의 작품은 세계 여러 나라의 언어로 번역되어 고전 부문의 스테디셀러로 널리 읽히고 있다. 주요 저작은 ‘내어드림’, ‘예수님 마음 찾기’ 등이 있다. 그는 오늘 눈을 감았다
☆ 가타야마 교이치(片山恭一) 명언
“다들 ‘힘내요’ 하고 말할 때마다 어찌할 바를 모르게 된다. ‘힘내요’라고는 하지만 어떻게 힘을 내야 할지 알 수가 없다. 힘을 낼 방법이 없어 슬퍼하고 있는데.”
1986년 ‘기척’으로 ‘문학계’ 신인상을 받은 일본 작가. 대표작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가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져 대중이 그
☆ 프랑수아 드 라 로슈푸코 명언
“겸손은 남의 칭찬을 싫어하는 듯이 보이지만, 사실은 넌지시 칭찬받고 싶다는 욕망에 불과하다.”
프랑스 작가. 504개 잠언이 실린 ‘잠언과 성찰’이 대표작. 파란만장한 역경을 겪은 그는 “우리의 미덕이란 가장 자주 위장되는 악덕에 지나지 않는다”는 말도 남겼다. 오늘은 그의 생일. 1613~1680.
☆ 고사성어 /
☆ 안토닌 드보르자크 명언
“나는 꽃, 새, 신 그리고 나 자신과 함께 작곡을 배웠다.”
‘국민악파’라고 불리는 19세기 민족주의 악파의 거두이기도 한 체코 작곡가. 낭만적인 음악가라기보다는 부지런하고 고지식한 작곡가로 알려졌으나 그의 음악성만큼은 광범위한 존경을 받고 있다. ‘시계포’ ‘유머레스크’가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과서에 실려 학생들이 가
☆ 피에르 아벨라르 명언
“기도는 전주(前奏)며 능력의 서언(序言)이요, 목적의 서사(序詞)며 완성의 통로다.”
프랑스 신학자, 철학자. ‘일반개념은 개별적인 사물들 속에 존재한다’는 견해를 펼쳐 중세 스콜라 철학의 보편 논쟁에 큰 획을 그은 인물. 나이 어린 제자 엘로이즈와의 연애사건으로 거세당해 수도사가 된 그는 말년에는 학설이 이단으로 몰려
과거제도 전에는 ‘찰거(察擧)’라는 방식으로 인재를 뽑았다. ‘察’은 ‘살필 찰’이라고 훈독하므로 ‘찰거’는 사람을 잘 살핀 후에 고른다는 뜻이다. 오늘날로 치자면 면접시험이다. 과거제도를 시행하기 전에 중국에서는 지역별로 어른을 지정하여 유망한 인물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게 하고, 그 결과를 9등급으로 품평하여 기록해 나갔다. 인재가 필요할 때면 이 기록을
겨울철에는 눈이 내려야 제맛이다. 깨끗하게 온 세상을 덮는 눈은 예로부터 시인들의 또 하나의 중요한 테마였다. 중국 위진남북조 시대, 문학에 많은 힘을 쏟은 동진(東晋)의 진군(陳郡) 사씨(謝氏) 가문의 일화가 있다.
당시 동진의 가장 유명한 재상이었던 사안(謝安)이 조카들과 함께 펄펄 내리는 눈을 보고 어떻게 표현하면 좋을지를 논한 내용이, 유명 인사들
◇난정연회/하태형/한길사/3만 원
하태형 수원대 교수가 ‘난정연회’를 출간했다. 저자 하태형 교수는 한문 전공이 아닌 경제학자지만, 한국 서예의 대가인 하석 박원규 선생과 만난 뒤 한문에 마음을 빼앗겼다. 서예사 최고의 작품인 ‘난정서’에 천착해 10년이 넘는 연구 끝에 책을 펴냈다.
이 책은 ‘난정서’를 다각적으로 고찰한다. 하연지의 ‘난정시말기’,
원숭이는 가족애 모성애가 강하다. 가족을 잃은 원숭이의 울음소리는 사람들의 애간장을 녹인다. 우리는 매우 슬플 때 단장(斷腸), 즉 창자가 끊어지는 것 같다고 말한다. ‘단장의 미아리고개’라는 유행가도 있다. 근심과 슬픔으로 넋이 빠지고 창자가 끊어지는 듯한 상태를 소혼단장(消魂斷腸)이라고 한다.
단장의 출처는 남송(南宋)시대 유의경(劉義慶)이 지은 세
눈은 오지 않지만 눈 이야기를 더 해보자. 눈에 관한 글로는 독문학자였던 수필가 김진섭(金晉燮•1903~?)의 ‘백설부(白雪賦)’가 인상 깊다. 1939년에 발표된 이 글은 “백설이여, 잠시 묻노니 너는 지상의 누가 유혹했기에 이곳에 내려오는 것이며, 또 너는 공중에서 무질서의 쾌락을 배운 뒤에 이곳에 와서 무엇을 시작하려는 것이냐! 천국의 아들이요, 경쾌
‘육룡이 나르샤’가 방송 3회 만에 시청률 10%를 돌파하며 월화드라마 1위로 올라섰습니다. 방송 후 포털 사이트 1위에 극중 인물의 이름이 오르내릴 정도로 그 인기가 대단합니다.
고려에서 조선으로 이어지는 격변의 역사를 ‘철혈군주’ 이방원을 시선에서 재해석 했다는 점이 시청자들의 흥미를 자극하는데요. ‘사극본좌’ 김명민부터 ‘대세배우’ 유아인까지,
권독종일(卷讀終日), 책은 하루 종일 읽어야 한다. 세설신어(世說新語)에 “사흘만 글을 읽지 않으면 말에 이치가 없어진다”[三日不讀書 語言無味]는 경고가 있다. “하루라도 글을 읽지 않으면 입안에 가시가 생긴다.”[一日不讀書 口中生荊棘] 이것은 안중근 장군의 유묵으로 널리 알려진 말이다.
그러나 정 시간이 없다면 글 읽기에 적당한 여가를 활용해야 한다.
문둥이시인, 아니 한센씨병, 나병 환자였던 한하운(韓何雲) 시인(1920~1975)의 대표작은 ‘보리피리’다. 세 번째 연에 ‘보리피리 불며/인환의 거리/인간사 그리워/피-ㄹ 늴리리’가 나온다. 인환은 人寰, 寰은 고을이나 세상이니 인환은 곧 사람 사는 세상이다. ‘파랑새’라는 작품을 보자. ‘나는/나는/죽어서/파랑새 되어//푸른 하늘/푸른 들/날아다니며/
중국 역사상 최고 미남은 서진(西晉)의 문인 반악(潘岳·247~300)이라고 한다. 그는 재모쌍전(才貌雙全)의 인재였다. 위진남북조 시대 명사들의 언행과 일화를 담은 ‘세설신어’(世說新語)에 따르면 반악이 나타나면 수많은 여인들이 자기를 보게 하려고 앞다퉈 수레에 과일을 던졌다고 한다. 척과영거(擲果盈車)의 유래다. 반악은 반안(潘安)이라고도 한다. 척과
서성(書聖) 왕희지(王羲之)의 5남 왕휘지가 풍류인이었다면 7남이었던 막내 왕헌지(王獻之)는 아버지의 재능을 가장 많이 물려받은 서예가였다. 아버지와 그를 묶어 이왕(二王) 또는 희헌(羲獻)이라고 부를 정도로 서예사에 비중이 크다. 자는 자경(子敬). 동진(東晉) 낭야(琅邪) 임기(臨沂) 사람이다. 생몰연도는 348~388, 344~386이 엇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