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 가입률 매년 감소…세제 혜택 늘어난 저소득층 더 줄어

입력 2016-01-24 14:35 수정 2016-01-24 14:3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표=연합뉴스)
(표=연합뉴스)

연금저축 가입률이 해마다 줄어들고 있다. 세제 혜택 늘어난 저소득층서 오히려 더 줄었다.

보험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세액공제 제도 도입 후 연금저축 행태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를 24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근로소득자 가운데 연금저축 납입자의 비율은 2011년 14.03%에서 2012년 15.03%로 증가했다. 그러나 2013년에는 14.73%로 감소했고, 2014년에는 14.08%로 떨어져 2011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되돌아갔다.

특히 상대적으로 소득이 적은 계층에서 가입률이 크게 줄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연구원 측은 “저소득층의 경우 저축 여력도 적어 근로소득자의 수가 늘어나는 만큼 연금저축 가입자가 늘지 않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표=연합뉴스)
(표=연합뉴스)

연소득 2000만원 이하 저소득층의 연금저축 가입률은 2011년 2.8%, 2012년 3.1%, 2013년 2.8%, 2014년 1.9%로 떨어졌다.

연소득 2000만원∼4000만원 계층은 2011년 25.0%에서 2014년 17.5%로, 7.5%포인트 떨어져 모든 소득 구간 중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다.

연소득 4000만원∼6000만원 계층은 47.4%에서 43.3%로 4.1%포인트 하락했다. 연소득 6000만원∼8000만원 계층은 60.8%에서 58.6%로 2.2%포인트 감소했다.

연소득 8000만원 이상인 고소득층의 가입률은 2011년 68.8%, 2012년 70.6%, 2013년 70.4%, 2014년 69.0% 등으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보험연구원은 "정부는 2014년 연금저축 세제혜택 방식을 소득공제에서 세액공제 방식으로 전환해 상대적으로 저소득층에게 혜택이 더 많이 돌아가도록 바꿨다"며 "그럼에도 저소득층의 가입률은 떨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고소득층의 경우 저축 여력이 충분해 세제혜택 방식 변경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며 "저소득층의 경우 노후에도 빈곤에 시달릴 가능성이 커 가입률을 끌어올릴 대책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다 상술인건 알지만…"OO데이 그냥 넘어가긴 아쉬워" [데이터클립]
  • ‘2025 수능 수험표’ 들고 어디 갈까?…수험생 할인 총정리 [그래픽 스토리]
  • ‘백신 음모론’ 펼친 케네디 주니어, 보건부 장관 임명
  • 삼성전자, 'CES 2025' 최고 혁신상 4개 포함 29개 대거 수상
  • 北 김정은, 자폭공격형 무인기 성능시험 지도…‘대량 생산’ 지시
  • 韓 환율관찰 대상국 재지정…“국내 채권시장 최악의 시나리오, 환율 상향 고착화”
  • “증거 인멸 우려” 명태균·김영선 구속…검찰 수사 탄력
  • 프리미어12 한국 대표팀, 오늘 일본과 B조예선 3차전…중계 어디서?
  • 오늘의 상승종목

  • 11.15 09:0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810,000
    • -2.59%
    • 이더리움
    • 4,369,000
    • -3.6%
    • 비트코인 캐시
    • 595,000
    • -4.8%
    • 리플
    • 1,106
    • +12.63%
    • 솔라나
    • 300,300
    • -1.61%
    • 에이다
    • 823
    • +0.12%
    • 이오스
    • 778
    • -0.89%
    • 트론
    • 251
    • -1.18%
    • 스텔라루멘
    • 186
    • +5.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91,000
    • +0.66%
    • 체인링크
    • 18,560
    • -2.98%
    • 샌드박스
    • 389
    • -3.7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