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령계좌 논란’ 웰스파고 CEO, 미국 상원서 집중포화 맞아

입력 2016-09-21 09:2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스터프 즉각 사퇴하고 보수 토해내야”

미국 4대 은행 웰스파고의 존 스텀프(62)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상원에서 집중포화를 맞았다고 2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스텀프 회장은 이날 ‘유령계좌’ 파문과 관련해 상원 은행위원회에 증인 자격으로 출석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최근 불거진 유령계좌 사건에 대해 거듭 사과했다. 최근 웰스파고의 수천 명 직원이 2011년부터 불법으로 고객 모르게 200만 개가 넘는 예금과 신용카드에 대해 이른바 ‘유령계좌’를 개설해 실적 부풀리기를 해온 사실이 드러났다. 이에 지난 8일 미국 연방소비자금융보호국(CFPB)은 웰스파고에 1억8500만 달러(약 2035억원) 규모의 벌금을 부과했다. 이는 CFPB 창립 이래 최대 규모 벌금이다. 유령계좌 개설에 연루된 직원은 53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스텀프 회장은 공화당과 민주당 의원들의 초당적 질책을 받았다. 민주당 대선 후보인 힐러리 클린턴의 러닝메이트로 거론됐던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은 이날 5000명이 넘는 낮은 직급의 직원들이 유령계좌 개설에 가담했다는 사실을 지적하며 웰스파고 고위직급 직원들을 비롯한 경영진의 ‘무기력한 리더십’에 대해 질타했다. 워런 의원은 “스터프가 즉각 사퇴하고 유령계좌 개설로 인한 상품판매가 이뤄졌던 기간에 받은 인센티브 등 보수를 토해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월가가 바뀌려면 이러한 사태가 발생하면 경영진들이 수감되야 한다”고 지적했다. 다른 상원의원들도 미국 전역의 지점에서 이러한 일이 5년 가까이 발생한 원인을 집중적으로 추궁했다.

이에 스텀프 회장은 의심 가는 금융상품 판매에 대해 적절한 조사와 중간 간부의 처벌이 없었던 점이 화를 키운 것으로 보인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유령계좌 개설 사건에 연루된 직원 전원을 해고 조치했다고 강조했다. 또 “유령계좌 개설 문제를 2013년에서야 인지하게 됐으며 이사회는 이 사실을 2014년에서야 알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해당 문제를 빨리 파악하지 못한 것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해당 사건이 은행 차원에서 지휘되거나 은행원들에게 요구한 적이 없다”고 변명했다. 즉 직원 개인이 선택한 일이지 회사 차원에서 계획한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비교 대상이 오타니?…“우리도 이정후 있다” [해시태그]
  • 기관이 주도하는 폭력의 시대…개미들을 어떻게 살아남아야 하나 [블록렌즈]
  • 한 달 뒤 공개될 반도체 관세 예의주시…'中 한정 고관세' 시나리오 무게
  • 단독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두고 의총협 “‘3058+α’ 등 3개 안 ‘고심’"
  • ‘미국 민감국가명단’ 결국 한국 포함돼 발효…긴밀 협력 차질 가능성
  • 결혼 안 하거나 망설이는 이유, 남녀 달랐다 [데이터클립]
  • ‘강력한 안정감’ 프리미엄 전기 SUV 왕좌 노리는 ‘더 뉴 아우디 Q6 e-트론’ [ET의 모빌리티]
  • "얼마 전에 끝났는데, 또?"…내 '아이돌'이 월드투어 도는 이유 [이슈크래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512,000
    • -0.36%
    • 이더리움
    • 2,324,000
    • -1.9%
    • 비트코인 캐시
    • 471,300
    • +0.11%
    • 리플
    • 3,087
    • -0.45%
    • 솔라나
    • 186,700
    • -0.85%
    • 에이다
    • 898
    • -2.71%
    • 이오스
    • 859
    • -4.13%
    • 트론
    • 365
    • -0.27%
    • 스텔라루멘
    • 348
    • +0.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190
    • -1.23%
    • 체인링크
    • 17,950
    • -2.76%
    • 샌드박스
    • 361
    • -4.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