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후강퉁(상하이-홍콩 증시 교차 거래)’에 이어 ‘선강퉁(선전-홍콩 증시 교차 거래)’을 통해 다시 한번 ‘빗장’을 푼다. 특히 2020년 자본시장 개방과 위안화 국제화 실현이라는 청사진을 목표로 주식은 물론 채권, 외환시장에서 점진적으로 개방 폭을 넓혀가는 중국이 이번 선강퉁 시행을 통해서는 시장 확대의 폭을 좀 더 넓히는 모습이다.
당초 예상보다 문을 좀 더 활짝 열어젖히며 자본시장 개방의 속도를 높이는 것이다. 이에 자본시장 개방을 통해 위안화의 기축통화 위상을 수립하려는 중국 정부의 야심찬 계획 역시 가속화할 것이란 전망이다.
이는 투자자들에게도 좀 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는 평가다.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의 이번 선강퉁 시행안과 관련해 투자대상, 투자 한도 면에서 모두 시장의 기대를 웃돌았다며 변화의 전환점에 놓여 있는 중국 시장으로의 투자에 적극 나설 때라고 강조했다.
◇ “위안화 국제화 목표로 자본시장 개방 적극” = 12월경 선전증시와 홍콩증시 간의 교차매매가 허용되는 이른바 선강퉁이 시행된다. 선강퉁은 별도의 라이선스 없이 선전과 홍콩 주식시장의 교차투자를 허용하는 제도로 후강퉁에 이은 중국 정부의 자본시장 개방 조치 중 하나다.
1992년 B주 시장 개설을 시작으로 주식시장 개방에 나섰던 중국 정부는 2020년까지 주식시장을 완전 개방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 위안화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서다. 최설화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위안화 국제화를 실현하려면 해외 투자자들의 위안화 자금에 대한 투자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며 “RQFII, 후강퉁, 선강퉁 등의 제도들은 이러한 맥락에서 나온 조치”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아직 위안화가 갈 길은 멀다. 위안화의 결제통화 비중이 1.72%(2016년 6월 말 기준)에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처럼 부족한 위안화의 위상이 중국 자본시장 개방을 부추길 것으로 전망한다.
최홍매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위안화 국제화는 결국 위안화의 쓰임새가 많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중국 정부가 후강퉁, 선강퉁 등 시장을 개방하는 것도 위안화가 활발히 유통, 결제되게 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 자본시장은 선진국 시장에 비하면 개방도가 미미한 수준이지만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면 향후 중국 자본시장의 개방은 꾸준히 진행될 것”이라며 “이에 따라 자본시장의 발전 역시 긍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선강퉁 시행으로 자본시장 성숙도 ‘한발’ = 전문가들은 특히 중국 정부가 이번 선강퉁 시행에 있어 시장의 예상보다 개방 폭을 넓혔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중국 자본시장의 개방이 가속화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중국 본토 자본시장의 제도적 보완까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최설화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선강퉁 시행으로 1437개의 A주 종목이 해외투자자들에게 개방될 것”이라며 “특히 선강퉁 시행과 더불어 해외투자자들의 중국 투자쿼터(전체 투자한도)까지 철폐함으로써 중국 자본시장의 대외 개방 수준이 진일보했다”고 평가했다.
이에 중국 정부가 적극 추진하고 있는 A주의 MSCI EM 지수 편입 가능성도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정숙 현대증권 연구원은 “중국 정부는 후강퉁과 선강퉁 관련 ETF, 액티브 펀드, 롱쇼트 펀드 등의 상품 도입을 위한 제도를 구체화할 예정”이라며 “투자 가능 시점은 선강퉁 시행 이후일 것으로 예상하는데 이는 향후 MSCI EM 지수에 A주의 포함 가능성을 확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와 함께 홍콩증시와의 연계 강화로 중국증시의 취약점으로 꼽히는 제도적 문제점들 역시 보완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최 연구원은 “중국 증시는 선진국 시장과 비교하면 아직 미성숙하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80%에 달하는 높은 개인투자자 비중이 하나의 원인”이라며 “그러나 기관투자자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선전시장인 홍콩과의 연계가 강화되면 제도적 보완이 진행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