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17일 ‘최근 건설투자의 경제성장 기여도 확대 의미’ 연구보고서를 발간하고 “건설투자의 경제성장 기여도를 제외하면 올 2분기 국내 경제성장률은 1.6%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특히 최근 제기된 ‘건설투자의 경제성장 기여도가 과다하다’는 주장에 대해 “최근 건설투자의 경제성장 기여도가 외환위기,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와 같은 국내 경제 침체기 때와 유사한 수준”이라며 "과거 추이를 벗어나는 과도한 수준은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건설투자의 경제성장 기여율이 50% 수준으로 상승했던 것은 △2013년 2분기(51.9%) △2009년 3분기(55.6%) △2008년 4분기(81.3%) △2003년 2·3분기(63.6%·77.8%) 등이다. 지난 20년간 50%를 상회했던 적은 8회에 다다르며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에는 80%를 웃돌았다.
이홍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경영금융연구실장은 “외환위기 및 금융위기 직후에는 국내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정책적으로 공공 건설투자를 증대시킴으로써 거시경제 침체를 완충한 반면 최근에는 민간 주택투자 호조세가 거시경제 침체를 완충하고 있는 특징이 차이점”이라고 말했다.
단 지난 2013년 1분기부터 2016년 2분까지 3년6개월간 주택투자의 기여율 평균은 20.9%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경제성장의 20% 가량이 주택투자에 의존한 것으로 다소 과도한 수준이다.
반면 토목투자는 6년 연속 감소해 실질투자액이 1995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한편 건설투자의 경제성장 기여도가 확대된 원인으로는 건설투자가 호황인 반면 제조업 생산과 수출 등 타 부문의 심각한 부진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제조업의 경우 전통적으로 국내경제 성장을 견인했지만 최근 부진하면서 경제성장 기여율이 15년 내 최저수준으로 하락했다.
이홍일 실장은 “1차적으로는 올 초부터 건설투자가 호황국면에 접어들면서 호조세를 보인 때문이지만 타 부문의 경제성장 기여율이 매주 부진해 건설투자 성장 기여율이 더욱 확대됐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