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에 필요하면 대기업 총수도 부를 수 있다.”
최순실 게이트를 수사 중인 검찰의 칼날이 미르ㆍK스포츠재단에 출연한 대기업과 총수를 정조준하면서 재계가 그야말로 ‘초비상’이 걸렸다. 특히 검찰이 8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초동 삼성전자 사옥을 전격 압수수색하자, 이번 사태에 거론된 그룹들은 다음 타깃이 될 것을 우려해 비상 대응 태세에 돌입했다.
재계 한 고위 관계자는 8일 “최근 그룹별로 총수가 참석하는 외부 공식 일정을 연기하거나, 취소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법무팀과 홍보, 대관라인 조직들은 혹시 발생할 수 있는 검찰의 압수수색, 총수와 관련자 소환에 대비해 국회와 정부, 검찰 등 사정라인의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관계자 및 총수 소환 사태를 대비, 대응 시나리오 작업에 착수한 상황”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앞서 검찰은 지난해 7월 박근혜 대통령과 대기업 총수들 간의 비공개 면담 경위에 관한 수사에 착수했다. 당시 비공개 면담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구본무 LG그룹 회장, 김창근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손경식 CJ그룹 회장 등이 포함됐다. 또한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과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조양호 한진 회장도 독대를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와 관련, 해당 그룹의 관계자 대부분은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는 입장이지만, 검찰의 총수 소환 가능성에 대해서는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대통령이 임기 중반에 만나자는데, 이를 거절할 수 있는 기업 총수는 없을 것”이라며 “더욱이 각 기업마다 경영권 승계, 총수 사면, 검찰 수사 등의 악재가 맞물려 있는 상황에서는 팔목 비틀기가 두렵다고 면담을 거절하는 배짱은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내년 경영전략을 수립해야 할 시기에 동시 다발적으로 수사가 진행될 경우,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우려했다.
재계가 가장 우려하고 있는 부분은 정경유착의 공범이라는 비판보다는 재단 모금의 ‘대가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만일 검찰 수사 결과 이권을 챙기기 위해 돈을 댔다는 대가성이 입증되면, 재계는 그야말로 메가톤급 소용돌이에 휩싸이게 된다. 상황에 따라서는 재계 총수들이 무더기로 검찰 수사를 받는 사상 초유의 사태도 배제할 수 없다.
검찰은 총수 소환이 필요할 경우 전원 소환은 부담스러운 만큼, 대가성이 의심되는 사안에 초점을 맞춰 선별 소환하는 방침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는 총수 리스크가 있었던 일부 그룹을 중심으로 소환 대상을 압축하고 있는 과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무엇보다 지배구조와 오너 리스크에서 ‘정부의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했다’는 의혹이 불거진 SK와 롯데그룹은 파문이 커지면서 당혹해 하고 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박근혜 정부 들어서 처음으로 실시된 재벌 사면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또 현 정부 들어 최대 사정수사로 꼽혔던 롯데그룹 경영비리 수사 역시 신동빈 회장 등 총수 일가 불구속 기소로 일단락된 바 있다. 두 그룹 모두 최근의 오너리스크와 재단 출연금과의 상관 관계를 소명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각에서 나오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