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M과 선복(선박의 화물 적재공간) 교환, 선복 매입 수준의 전략적 협력을 맺은 것은 현대상선 재무상태 등을 고려할 때 최선의 결과라고 생각한다.”
유창선 현대상선 사장은 12일 서울 연지동 현대상선 본사에서 열린 ‘2M 해운동맹 협상 타결 및 경영정상화 방안’ 간담회에서 “2M과 협상 결과에 대해 미흡하게 보시는 시각도 있지만, 현대상선의 상황을 고려하면 최상의 결과”라며 “선복 공유가 포함되지 않아 해운동맹이 아니라는 비판은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입장을 밝혔다.
유 사장은 “과거 싱가포르 APL, 일본 MOL과 3자 해운동맹을 시작했을 때, APL의 요청으로 제휴 내용을 선복 공유에서 선복 교환으로 변경한 적이 있다”면서 “선복 교환이냐, 선복 공유냐는 협력의 여러 가지 형태 중 하나에 불과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결국 이번 협력의 성격을 규정짓는 조건을 보면 오션얼라이언스 등 다른 해운동맹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수준”이라며 “선복 공유가 포함되지 않아 반쪽짜리 동맹에 그쳤다는 건 현대상선에 대해 문제를 부각시키는 노이즈 마케팅을 하려는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현대상선은 전날 2M과 선복 교환, 선복 매입을 골자로 한 ‘전략적 협력(2M+H Strategic Cooperation)’ 협상을 타결했다. 2M은 세계 1위 선사인 덴마크의 머스크, 2위인 스위스 MSC가 포함된 세계 최대 해운동맹이다.
선복 매입은 다른 해운사로부터 짐을 실을 수 있는 공간을 사는 것이고, 선복 교환은 짐을 실을 수 있는 공간을 해운사 간 교환하는 것이다. 이번에 제외된 선복 공유는 동맹 해운사들이 배를 섞어서 운항하는 형태다.
유 사장은 또 오는 2018년까지 현대상선 기초 체력을 다지는 작업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 사장은 “글로벌 해운 시장의 점유율 확장을 위한 치킨게임이 언제 끝날지 알 수 없다”면서 “현대상선은 최후의 승자가 되기 위해 2018년까지 기초 체력을 다지겠다”고 말했다.
현대상선은 이날 아시아-미주 시장 기반의 ‘포커스 오션 캐리어(선택된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해운사)’를 지향하고, 2021년까지 영업이익률 5%를 달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대상선은 “향후 사업구조를 컨테이너 중심으로 재편하고, 해당 사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18년 말까지 무리한 선대 확장을 지양할 것”이라며 “향후 2~3년은 선대 개편과 터미널 인수를 통한 원가경쟁력 제고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상선은 오는 2018년까지 전방위 노력을 통해 영업이익 창출, 부채비율 400% 이하 고수 등 생존을 위한 체력 확보에 집중하고, 향후 본격적인 확장 및 경쟁력 강화를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 과정에서 정부가 지난 10월 말 발표한 ‘해운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적기에 활용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선박회사와 선박신조 프로그램, 글로벌 해양펀드를 적극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스페인 알헤시라스 터미널은 이달 말 혹은 1월 중 본계약 체결을 목표로 인수 작업을 진행 중이다. 우선매수청구권을 보유한 2대주주 MSC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입찰한 미국 롱비치터미널은 이달 중 우선협상대상자가 확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산업은행과 채권단은 정부의 해운업 지원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이전 터미널 인수를 위해 이달 중 3000억 원의 신규 자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산업은행 정용석 부행장은 “현대상선이 국내 유일의 원양 국적선사가 된 만큼,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회복하도록 적기에 금융지원을 할 것”이라며 “금융지원 과정에서 리스크도 있겠지만, 한국 해운산업 발전을 위한 것이라 보고 지원을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 부행장은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의 구조조정 과정에서의 형평성 논란에 대해 “동일한 원칙을 적용했다”면서 “한진그룹의 상황 인식과 향후 처리 방안 등에 대해 채권단과 상당한 이견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한진해운은 채무조정이 어려워 올해 5월 들어서 용선료와 채무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다”며 “국가 정책적인 측면도 중요하지만, 경제 논리도 무시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