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직영(중랑·난지)과 민간위탁(탄천·서남) 방식으로 이원화한 4개 물재생센터를 2019년까지 공단(지방공기업)으로 전환한다고 30일 밝혔다.
민간위탁 물재생센터 2곳은 같은 수탁사와 수차례에 걸쳐 수의계약이 이뤄졌고, 시 간부 출신 직원이 수탁사 대표이사로 앉아 문제가 됐다. 서울시 출신 전적자와 민간위탁사 직접 채용자 사이에 급여 차이가 크게 난다는 점도 지적됐다.
시는 이에따라 장기적으로 2019년까지 공단을 세워 4곳 모두 일원화해 관리할 계획이다. 그 전까지 민간위탁하는 2곳은 수의계약이 아닌 일반경쟁입찰로 업체를 선정한다.
시는 이 같은 공단 설립 방안은 올해 5∼9월 진행한 학술연구용역 결과 공단 형태의 운영방식이 제안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전국 6개 광역시 가운데 울산을 제외한 5개 광역시는 공공하수처리시설을 공단 형태로 운영 중이라고 말했다.
시는 내년 중 공단 설립을 위한 타당성 검토 연구용역에 들어갈 방침이다.
또 시 간부 출신 직원이 수탁사 대표이사가 된다는 지적에 따라 선임 방식은 기존 이사회 추천에서 공개모집으로 전환됐다.
시 출신 전적자와 직접채용자 사이의 급여 차이를 줄이고자 수탁자 모든 직원에 대해 7월 서울형 생활임금제가 적용됐다. 이에 따라 초급 신입직원 기준 평균 연봉은 1964만 원에서 2361만 원으로 20%가량 인상됐다.
이철해 서울시 물재생시설과장은 "물재생센터 운영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공단 설립을 추진한다"며 "그동안 직영과 민간위탁으로 이원화했던 운영을 일원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