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만난 게임업계 한 관계자는 이렇게 하소연했다. 사실 게임 내 불법프로그램의 심각성은 어제오늘의 얘기가 아니다. MMORPG(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 장르의 게임에서는 자동사냥 프로그램이 성행했으며, FPS(1인칭 슈팅게임) 장르의 게임에서는 조준 없이 상대를 제압하는 등 밸런스를 파괴하는 핵이 등장했다. 모바일 게임과 온라인 게임을 가릴 것 없이, 출시되면 정상적인 게임 플레이를 방해하는 핵이 등장해 판을 망치기도 했다.
악의적인 핵을 활용해 불법적인 이득을 취하게 되면 정상 플레이를 하는 유저들은 상대적으로 박탈감을 느낀다고 한다. 본인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 게임을 플레이하지만, 핵 사용자들은 단기간에 빠른 성장이나 승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실망감을 느낀 유저들은 하나둘 게임을 떠나게 되고, 이는 곧 게임회사의 수익 저하로 이어진다. 심할 경우 유저들이 모두 떠나고, 더 이상 게임을 서비스할 수 없어 종료를 선택하는 경우까지 있다고 한다.
이 때문에 게임 기업들은 불법프로그램을 적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게임 내 버튼의 활성화로 불법프로그램 사용자를 신고하거나, 자체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제재를 가하는 방식이다. 지난해에는 불법해킹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자에게 과태료를 부과하고 이를 제작·배포하는 자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게임산업법’ 개정안이 발의되는 등 정부 차원에서도 초강수를 뒀다.
하지만 어둠의 경로를 통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핵 유저들로 인해 일반 유저들의 불만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정부와 기업이 제대로 된 대응을 하지 못한다면 성장하고 있는 국내 게임 산업에 제동이 걸리는 ‘불행의 씨앗’이 될 수 있다.
기업들이 불법프로그램을 걸러낼 수 있는 전담 팀을 운영하고 있지만,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예산을 늘려 관련 팀을 확충하는 등 깨끗한 게임 서비스를 위한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