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기재부에 따르면 김 장관은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ㆍ중앙은행총재 회의차 방문한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전날(현지시간) 므누친 장관과 양자회담을 가졌다. 김 부총리와 므누친 장관 취임 이후 네 번째 만남이다.
이 자리에서 김 부총리는 “어느 때보다 한·미 간 긴밀한 공조가 중요해진 시점에, 미 정부의 관세 부과 조치가 양국 관계에 대한 잘못된 시그널을 줄 수 있다”며 미 정부의 철강관세 부과에서 한국을 면제해 줄 것을 요청했다.
또 “최근 우리나라의 대(對)미 철강 수출 동향과 낮은 시장 점유율 등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가 미국 철강 산업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미국 철강 시장 점유율은 2015년 4.6%에서 2016년 3.8%에 이어 지난해 3.5%로 하락했다.
김 부총리는 “한국의 철강ㆍ자동차 기업들이 대미 투자와 고용창출을 통해 미국 경제에 크게 기여해 왔다”고 역설했다.
이에 므누친 장관은 “한국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했다”며 “미 정부의 결정 과정에 한국의 입장이 충분히 반영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앞서 김 부총리는 11일 므누친 장관 앞으로 서한을 보내 미국의 관세 부과 결정에 우려를 표하고, 양국의 관계를 감안해 한국산 철강을 대상에서 제외해 줄 것을 요청한 바 있다.
이번 회동에서 김 부총리와 므누친 장관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한 의견도 나눴다. 양측은 최근 개정 협상 진행 상황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한·미 FTA가 원만하게 진행ㆍ타결되도록 노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김 부총리는 또 4월 미 환율보고서에서 우리나라가 환율조작국이나 심층분석 대상국으로 지정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미국 측의 입장을 물었다.
그러면서 그는 “한국 정부가 국제통화기금(IMF) 등과 외환시장 투명성 제고 방안을 협의 중이다”고 설명했다.
미국 정부는 지난해 4월에 이어 10월 환율보고서에서 한국을 관찰대상국(monitoring list)으로 분류한 바 있다.
한국은 대미 무역 흑자 등 환율조작국 3대 요건 중 환율시장의 한 방향 개입 여부만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돼 환율조작국 지정을 면했다.
므누친 장관은 “아직 환율보고서가 작성 중인 만큼 예단하기 어렵지만, 한국 측 입장을 충분히 이해한다”며 여지를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