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까지 토지보상 3조7000억 원…내년은 25조 원 풀린다

입력 2018-10-24 11: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연말까지 토지보상금 3조7000억 원이 전국에서 풀린다. 내년에는 연기된 대형 사업과 정부의 공급 확대 정책 등이 본격화되면서 토지보상금이 20조 원을 넘어설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24일 부동산개발정보업체 지존에 따르면 올해 연말까지 고양 장항공공택지지구 등 전국 16곳에서 약 3조7000억 원의 토지보상금이 풀릴 전망이다.

지난달부터 수서역세권 공공주택지구에서 약 3600억 원 규모의 토지보상이 시작됐으며 화성능동 기업형임대주택 공급촉진지구도 이달 초 협의보상에 들어갔다. 다음 달에는 고양장항 공공주택지구가 감정평가를 마치고 본격적인 협의보상을 진행하며 예상 보상액만 1조932억 원에 이른다.

최근 남북관계 개선 호재를 맞은 파주는 파주희망프로젝트 1단계 사업으로 추진되는 파주센트럴밸리 일반산업단지의 보상이 내달 시작된다. 대구에서는 대구도시공사가 시행하는 금호워터폴리스 일반산업단지가 지난 15일부터 토지보상에 들어갔다. 예상 보상 규모는 7500억 원 수준이다.

연말에는 LH가 시행하는 수원당수 공공주택지구와 의정부리듬시티가 시행하는 의정부 복합융합단지가 보상 절차에 돌입한다. 한국도로공사가 맡은 새만금-전주고속도로의 협의보상도 연말부터 시작된다.

올해 토지보상액은 총 16조 원에 달할 전망이었지만 사업 연기 등으로 실제 액수는 이보다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대신 내년도 토지보상이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정부의 수도권 30만 가구 건설계획이 내년부터 본격화하기 때문이다.

지존은 정부가 공공주택 개발 사업을 차질없이 진행한다면 내년 토지 보상금액이 총 25조 원을 넘어설 것으로 관측했다. 2009년(34조8554억 원) 이후 10년 만에 최대 규모다.

신태수 지존 대표는 “올해 산업단지가 토지보상을 주도했다면 내년부터는 땅값이 높은 수도권 신규 공공택지의 보상이 증가하면서 정부의 보상비 부담도 만만치 않을 것”이라며 “특히 정부가 밝힌 수도권 3기 신도시 4∼5곳의 개발이 본격화되면 앞으로 2∼3년간 수도권 토지보상금이 부동산 시장을 자극하는 ‘불쏘시개’ 역할을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한은 금통위, 2회 연속 인하·부총재 소수의견·1%대 성장 전망 ‘이변 속출’ [종합]
  • ‘900원 vs 150만 원’…군인 월급 격세지감 [그래픽 스토리]
  • ‘고강도 쇄신’ 롯데그룹, CEO 21명 교체…신유열 전무 부사장 승진 [2025 롯데 인사]
  • "출근해야 하는데" 발만 동동…일단락된 '11월 폭설', 끝이 아니다? [이슈크래커]
  • 원·달러 환율, 기준금리 ‘깜짝 인하’에도 오히려 하락
  • 단독 론칭 1년 만에 거래액 1억弗 달성 ‘트롤리고’…내년부터 원화 결제 추진
  • '리플 커플링' 스텔라루멘, 2주간 280% 상승…전고점 뚫나
  • 정몽규, 축구협회장 4선 노린다…허정무와 경선
  • 오늘의 상승종목

  • 11.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2,917,000
    • -0.54%
    • 이더리움
    • 5,005,000
    • -1.96%
    • 비트코인 캐시
    • 714,000
    • -1.24%
    • 리플
    • 2,088
    • +1.31%
    • 솔라나
    • 330,500
    • -1.2%
    • 에이다
    • 1,425
    • +1.28%
    • 이오스
    • 1,133
    • -0.87%
    • 트론
    • 284
    • +1.43%
    • 스텔라루멘
    • 679
    • -0.59%
    • 비트코인에스브이
    • 98,800
    • +3.51%
    • 체인링크
    • 25,120
    • -2.41%
    • 샌드박스
    • 847
    • -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