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은 보다 높은 가치평가를 이끌어내기 위해 종종 상장 시기를 뒤로 조율한다. 기관 대상 수요예측 결과에서 공모 밴드 중 얼마를 최종 공모가로 부여받느냐에 따라 공모금액이 수십억~수백억 원씩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올해는 유난히 막판 상장 철회 요청이 잦았다. 한국거래소의 상장예비심사 문턱까지 통과했지만 기관투자자들이 투자를 주저하면서 수요예측 흥행에 실패했기 때문이다. 지난주까지 IPO 최대어로 손꼽혔던 SK루브리컨츠를 비롯해 프라코, 아시아신탁, 에이치디씨아이서비스, CJ CGV 베트남홀딩스까지 5곳이나 코스피행을 미뤘다. 코스닥 입성 대기 중인 비상장사 중에서도 상장·심사를 철회한 예비 기업이 11곳에 달한다.
얼어붙은 IPO 시장은 기본적으로 높아진 글로벌 시장 변동성에 기인한다.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에 반도체 사이클 고점 논란, 미국발 금리인상 기조, 터키발 유럽 금융위기 우려 등 통제 불가능한 변수들이 가득하다.
다만 시장에서 더 우려스러운 현상은 2년간 문재인 정부가 선보인 정책들에 대한 불신이다. 우스갯소리로 ‘문재인버스(inverse·반대)’라는 말까지 나왔다. 제약·바이오 기업 회계테마 감리 강화, 삼성바이오로직스 고의 분식회계 의혹, 대기업 세무조사 강화, 코스닥 벤처펀드 제도까지 현 정부가 내놓은 경제·증시 정책들이 되레 경제 퇴보와 증시 하락을 부추기고 있다는 점을 비꼰 블랙 유머다. 큰 기대를 모았던 남북경협 역시 이렇다 할 경제적 효과가 가시화하지 않은 상태다.
물론 정부의 당초 정책 취지가 그렇지 않았음을 모르는 바는 아니다. 다만 급격한 진보적 경제정책이 시장 관계자들의 충분한 공감대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역효과를 냈다는 사실을 인정하길 바란다. 막 출발선에 선 2기 경제팀이 시장과의 소통에 조금 더 충실해주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