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빚 사상 첫 1500조 돌파..증가세는 축소

입력 2018-11-21 12:00 수정 2018-11-21 17: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여전히 소득보다 빠른 증가세 가계 부채부담 가중

가계빚이 사상 처음 1500조원을 돌파했다. 다만 증가세는 정부의 각종 규제대책에 축소되는 양상이다. 하지만 여전히 소득보다 빠른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어 가계의 부채부담은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
(한국은행)
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3분기(7~9월) 중 가계신용은 1514조4000억원을 기록해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다만 증가세는 한풀꺾인 양상이다. 직전분기보다 22조원(1.5%) 늘어 3분기째 1%대 증가세를 유지했고, 전년동기대비로도 6.7%(95조1000억원) 늘어 2014년 4분기(6.5%) 이후 3년9개월(15분기)만에 가장 낮았다. 전년동기대비 기준으로는 2016년 4분기 11.6%를 기록한 이래 1년9개월(7분기)째 둔화세를 이어갔다.

부문별로는 가계대출이 1427조7000억원으로 전분기말보다 18조5000억원(1.3%) 늘었다. 예금은행은 14조2000억원 증가한 695조9000억원을,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은 소폭 늘어난 317조2000억원을 기록했다.

주택담보대출은 예금은행이 483조5000억원,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이 111조3000억원을 보였다. 주택금융공사 등 기타금융기관 주택담보대출도 149조3000억원을 나타냈다. 이에 따라 전체 주담대는 744조1000억원으로 전분기보다 9조4000억원(1.3%) 늘었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예금은행이 212조4000억원을,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이 205조9000억원을 나타냈다.

문소상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전분기기준 예금은행은 집단대출 및 전세자금대출 증가가 지속됐고 계절적 요인 등에 기인해 주담대를 중심으로 확대됐으나 비은행취급기관 및 기타금융기관 등은 증가세가 소폭 축소됐다”며 “가계부채가 정부대책으로 인해 감소하고 있지만 여전히 소득보다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가계부채 부담은 가중되는 상황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실제 명목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은 2017년 기준 4.5%의 증가세를 기록 중이다.

한편 신용카드사나 할부금융사, 백화점 및 자동차회사의 판매신용은 추석 연휴 등 계절적 요인에 전분기보다 3조6000억원(4.3%) 늘어난 86조7000억원을 보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부모-자녀 한 동네 사는 실버타운 만든다더니…오세훈표 '골드빌리지' 무산
  • 오늘은 '소설' 본격적인 겨울 준비 시작…소설 뜻은?
  • 총파업 앞둔 철도노조·지하철노조…오늘도 태업 계속 '열차 지연'
  • 단독 내일부터 암, 2대 주요치료비 보험 판매 중지된다
  • "아이 계정 삭제됐어요"…인스타그램의 강력 규제, '진짜 목표'는 따로 있다? [이슈크래커]
  • 근무시간에 유튜브 보고 은행가고…직장인 10명 중 6명 '조용한 휴가' 경험 [데이터클립]
  • 김장철 배춧값 10개월 만에 2000원대로 '뚝'
  • 단독 LG 생성형 AI ‘엑사원’에 리벨리온 칩 ‘아톰’ 적용되나…최적화 협업 진행
  • 오늘의 상승종목

  • 11.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757,000
    • +3.66%
    • 이더리움
    • 4,702,000
    • +8.39%
    • 비트코인 캐시
    • 680,000
    • +8.97%
    • 리플
    • 1,697
    • +8.37%
    • 솔라나
    • 359,100
    • +7.77%
    • 에이다
    • 1,140
    • +0.18%
    • 이오스
    • 929
    • +4.74%
    • 트론
    • 278
    • +1.09%
    • 스텔라루멘
    • 361
    • +2.85%
    • 비트코인에스브이
    • 96,650
    • -0.67%
    • 체인링크
    • 20,880
    • +3.11%
    • 샌드박스
    • 483
    • +2.1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