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CSV는 진화형? CSR 콤플렉스일뿐!

입력 2018-11-29 18:1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꽃들 유통바이오부 기자

“CSR를 넘어 CSV로.” 최근 몇 년 사이 많은 국내 기업들이 사회공헌활동과 관련해 이같이 주창하며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간판을 내리고 CSV(공유 가치 창출)로 고쳐 달았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도대체 왜 CSR를 넘어야 하는지 의문이 든다.

미국 하버드대 경영학과 마이클 유진 포터 교수가 2011년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서 CSV 개념을 발표한 이후 CSV 열풍이 불더니 마치 CSR는 후진적 개념이고 CSV야말로 진화형이란 기조가 국내 산업계를 뒤덮었다. 너도나도 부서명과 사업조직에 CSV를 집어넣는가 하면 지금껏 전개해오던 사회공헌활동을 CSV로 둔갑시켰다.

문제는 CSV와 CSR는 명확히 별개의 개념이란 점이다. 포터 교수에 따르면 CSV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투입 비용 대비 수익을 창출해야 하는 사업모델이다. 네슬레가 초콜릿 과자 ‘킷캣’의 품질 개선을 위해 저개발국 농부에게 기술 교육을 시행한 게 CSV의 대표 사례다. 이처럼 CSV는 기업이 나서서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제3세계에서 주로 수행돼왔다. 반면 CSR는 지속가능성, 적합성, 진정성 등을 높은 가치 판단 체계로 삼는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다.

그동안 국내 기업들은 사회공헌활동을 꾸준히 진행하면서 진정성을 전달하고자 노력해왔다. 그러나 영리기업이 사회공헌을 수행하는 데 대한 까다로운 시선이 CSR 콤플렉스를 낳았다. CSV에 대한 오해마저도 짙다. CSV는 사업 경영 모델의 일환으로, 공유가치의 관점이 의사결정이 필요한 모든 사업 단계마다 적용되어야 한다는 게 포터 교수 등의 의견이다. 원료 조달, 생산, 기획 등에 이르기까지 전사적으로 꾀해야 하는 체질 혁신 작업인 것이다. 롯데, CJ 등 유통업체 역시 자사의 CSV 공식 사이트를 통해 사회공헌활동을 소개하고 있다. 여기에는 다문화, 청소년 대상 교육, 문화체험, 해외 참전용사 보은사업, 군대 물품 지원, 생필품 기부 등 CSR 자체로서 오롯이 높은 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을 CSV 영역으로 한데 묶어버렸다.

국내 기업들은 CSR를 폄하할 필요가 없다. CSR는 기업이 할 수 있는 선행 그 자체다. 오히려 효과를 측정하는 기본적인 아이디어를 바꾸는 데 집중하는 게 좋다. 기업평판의 향상 정도보다는 사회적 기여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강구하는 게 더 선진적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당원 게시판 논란'에 연일 파열음…與 균열 심화
  • 코스닥·나스닥, 20년간 시총 증가율 비슷했지만…지수 상승률은 ‘딴판’
  • 李 열흘만에 또 사법 리스크…두 번째 고비 넘길까
  • 성장률 적신호 속 '추경 해프닝'…건전재정 기조 흔들?
  • 민경훈, 뭉클한 결혼식 현장 공개…강호동도 울린 결혼 서약
  • [이슈Law] 연달아 터지는 ‘아트테크’ 사기 의혹…이중 구조에 주목
  • 유럽 최대 배터리사 파산 신청에…골드만삭스 9억 달러 날렸다
  • 일본, 사도광산 추도식서 “한반도 노동자, 위험하고 가혹한 환경서 노동”
  • 오늘의 상승종목

  • 11.2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088,000
    • -0.54%
    • 이더리움
    • 4,669,000
    • +0.86%
    • 비트코인 캐시
    • 702,500
    • -3.83%
    • 리플
    • 1,992
    • -5.55%
    • 솔라나
    • 349,600
    • -1.52%
    • 에이다
    • 1,435
    • -2.97%
    • 이오스
    • 1,185
    • +12.32%
    • 트론
    • 294
    • -1.34%
    • 스텔라루멘
    • 805
    • +34.39%
    • 비트코인에스브이
    • 96,750
    • -2.12%
    • 체인링크
    • 23,760
    • +3.13%
    • 샌드박스
    • 862
    • +58.4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