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쏭語 달쏭思] 괘씸 [過甚]

입력 2019-01-21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병기 전북대 중문과 교수

한때 우리 사회에는 ‘괘씸죄’라는 말이 유행했었다. 공무원이든 회사원이든 지위와 직급의 고하가 분명한 계급사회에서 아랫사람이 윗사람의 의도에 거슬리거나 눈 밖에 나는 행동을 함으로써 받는 미움을 일컫는 말이었다. 정치판에서는 공천권이나 임면권을 가진 막강한 권력자의 마음을 미리 헤아리지 못함으로써 불이익을 받을 때 “괘씸죄에 걸렸다”는 표현을 하곤 하였다.

가진 자의 갑질이 매우 심한 시절에 나돌던 유행어이다. 세상이 많이 투명해진 지금은 전에 비해 훨씬 줄기는 했지만 아직도 가진 자의 갑질이 심심찮게 보도되고 있는 것을 보면 여전히 괘씸죄의 피해를 당하는 사람이 있으리라는 생각이 든다.

‘괘씸’의 어원은 한자어 ‘過甚’에 있다고 한다. ‘過’는 주로 ‘지날 과’라고 훈독하여 통과하는 행위나 지나간 과거를 나타내는 글자이지만, 또 한편으로는 ‘허물 과’라고 훈독하여 허물 즉 잘못을 뜻하는 글자이기도 하다. ‘甚’은 ‘심할 심’이라고 훈독하며 정도가 심한 상태를 뜻하는 글자이다. 그러므로 ‘過甚’은 ‘허물이 심한 상태’를 이르는 말이다.

주로 아래 사람이 윗사람에게 범하지 않아야 할 잘못을 저질러 크게 결례했을 때 사용하는 말이다. 욕설에 준하는 꾸지람인 “괘씸한 놈”의 ‘괘씸’이 바로 그런 예이다. “괘씸한 놈”이라는 욕을 먹을 만한 행동을 한 사람은 깊이 반성하며 용서를 빌고, 다시는 그런 잘못을 저지르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함은 당연하다. 그러나 아무런 잘못이 없는데도 단지 윗사람의 비위를 거슬렀다는 이유로 괘씸죄에 걸려 승진을 못한다거나 좌천이 되는 등 불이익을 당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윗사람의 비위만 맞추려 드는 사람은 조직을 망치는 사람이다. 상관의 비위를 건드리면서라도 바른 말을 하는 사람이 조직을 건강하게 한다. 높은 자리에 있는 사람은 바른 안목과 떳떳한 양심을 갖고서 아예 괘씸죄라는 죄목 아닌 죄목을 머리에서 완전히 지워버려야 할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국내보다 낫다"…해외주식에 눈 돌리는 대학생 개미들 [데이터클립]
  • "웃기려다가 나락"…'피식대학'→'노빠꾸 탁재훈'이 보여준 웹예능의 퇴보 [이슈크래커]
  • K-푸드, 수출 주역으로 '우뚝'…10대 전략산업 넘본다 [K-푸드+ 10대 수출 전략산업②]
  • "서울 집값·전세 계속 오른다"…지방은 기대 난망 [하반기 부동산시장 전망①]
  • 줄줄 새는 보험료…결국 가입자 '쥐어짜기' [멍든 실손개혁下]
  • 피겨 이해인 "미성년 성추행 사실 아냐…부모님 반대로 헤어진 후 다시 만나"
  • 급전 끌어 쓰고 못 갚고…현금서비스·카드론 잔액 동반 증가
  • ‘유퀴즈’ 빌리 아일리시, 블랙핑크 제니와 각별한 우정…“평소에도 연락, 사랑한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13:0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141,000
    • -1.47%
    • 이더리움
    • 4,771,000
    • -0.42%
    • 비트코인 캐시
    • 532,000
    • -3.1%
    • 리플
    • 662
    • -1.34%
    • 솔라나
    • 193,600
    • -0.97%
    • 에이다
    • 539
    • -2.53%
    • 이오스
    • 808
    • -0.25%
    • 트론
    • 174
    • +1.16%
    • 스텔라루멘
    • 126
    • -2.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750
    • -2.56%
    • 체인링크
    • 19,540
    • -2.3%
    • 샌드박스
    • 469
    • -0.8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