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2017년 신조(해양플랜트 제외) 수주 규모는 현대중공업이 전세계 시장의 18.24%, 대우조선해양이 4.60%를 차지했다. 이 두 회사의 글로벌 점유율이 22.84%에 달하는 것이다. 삼성중공업(3.73%)에 비해선 무려 7배에 가까운 점유율이다.
수주잔량 기준으로도 상황은 비슷하다. 작년 말 기준 1위 현대중공업과 2위 대우조선의 수주잔량은 약 1698만CGT로 3위 일본의 이마바리의 3배를 넘는다. 4위 이탈리아의 핀칸티에리 6위 중국의 양즈장조선 7위 메이어넵툰 등도 압도한다.
따라서 경쟁국인 유럽연합과 중국, 일본, 미국 등이 합병에 제동을 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글로벌 독과점과 담합, 그리고 무역 문제에 가장 민감한 국가는 미국과 유럽이다.
미국 법무부는 2017년 대만 에버그린(Evergreen)을 비롯, 복수의 대형 선사 최고경영진을 소환한 바 있다. 이 업체들은 당시 ‘해운동맹을 통한 반독점법 규정 위반 혐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미국 연방해사위원회(FMC)는 “컨테이너 운송 사업 허가권이 없다”며 일본 해운선사들의 합병에 반대했다. 유럽연합은 작년 일본 해운사 3곳을 포함, 남미와 유럽 해운사 5곳이 가격 담합을 했다는 이유로 거액의 과징금을 부과하기도 했다.
조선업계의 한 관계자는 “양사의 합병이 마무리되려면 유럽과 미국 등 경쟁국의 기업결합 심사를 통과해야 하는데 상당한 시일이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
내부적으로는 노조의 반발이 걸림돌로 지적된다.
대우조선해양 노조 관계자는 “사실 현장에서 (인수를) 썩 반기는 분위기는 아니다”라며 “동종 업체 간의 인수라면 중복되는 사업을 조정할 것이고, 자연스레 구조조정 불안감이 생기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현대중공업 노조 또한 대우조선해양 인수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사측과 진행하던 임금 및 단체협상 2차 잠정합의안에 대한 조합원 찬반 투표를 잠정 연기한다고 밝혔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대우조선을 인수할 경우 현대중공업과 겹치는 업무를 하는 조합원들의 고용불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등 전체 노동자들의 노동조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방향과 진위파악이 필요하다는 것에 의견을 모았다”고 설명했다. 이정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