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지금은 정부가 단일 개혁안을 제안해도 실효성이 없고, 현실적으로 21대 국회가 들어서야 본격적으로 논의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 장관은 25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반송2동 마을건강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9월에는 국회의원 마음이 60%는 국회, 40%는 지역구에 있었지만 11월이 되니 95%가 지역구에 있어 (국회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정책적인 이야기가 귀에 들어오지 않는 것 같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늘 강조했듯이 연금제도 자체만을 걱정하는 분들이 모여서 상의하면 답을 내기가 어렵지 않다고 생각하지만, 여야 의원들은 정파적인 의견에 영향을 받고 있고 개인 의견과 달리 당의 의견도 반영해야 해 생산적인 결과를 내지 못하고 갑론을박을 먼저 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단 “21대 국회가 들어설 때까지 막연히 기다릴 수 없기 때문에 정부 내부적으로는 좀 더 세련된 안, 장기적이고 정파성을 버린 시각으로 모였을 때 가능한 한 빨리 합의를 볼 수 있는 안을 다듬고 있다”고 부연했다.
앞서 복지부는 지난해 국민연금 재정추계를 바탕으로 △현행 유지(소득대체율 40%, 보험료율 9%) △현행 유지하되 기초연금 40만 원으로 인상 △소득대체율 45%로 상향,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50%로 상향, 보험료율 13%로 인상 등 4개 개혁안을 제시했다.
이후 대통령 직속 사회적 대화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는 논의를 이어받아 △소득대체율 45%로 상향, 보험료율 12%로 인상 △현행 유지 △소득대체율 유지, 보험료율 10%로 즉시 상향 등 3가지 개편안을 내놨다. 이 중 첫 번째 안을 다수안으로 제시했다.
하지만 지난달 국회 국정감사에서 정부가 국민연금 개혁안을 복수안으로 제출한 데 대해 ‘무책임하다’는 비판이 나왔고, 박 장관은 경사노위가 제시한 개혁방안을 중심으로 복지부가 단일안을 제시할 수 있을지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박 장관은 건강정책을 총괄하는 가칭 ‘건강정책실’을 신설하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복지부는 기존 건강정책국을 확대해 실 조직으로 키우고 정신질환정책, 예방중심 건강정책, 보건산업정책을 강화하는 방안을 행정안전부, 기획재정부와 협의 중이다.
그는 특히 예방중심 건강정책 확대에 대해 “현재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줄고 있는데 국민이 실제로 건강하게 지내는 건강연령을 72세에서 80세로 늘리면 생산가능인구도 75세까지 확대될 수 있을 것”이라며 “국민을 건강하게 만드는 것이 복지부의 새로운 임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