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3분기 GDP 증가율 4.5%로 6년 반 만에 최저…3년 만에 반 토막

입력 2019-11-30 10:3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기후변화에 농업 종사자 수입 줄어…인도의 RCEP 협상 철수 시사 요인으로도 작용

▲인도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추이. 3분기 4.5%. 출처 트레이딩이코노믹스
▲인도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추이. 3분기 4.5%. 출처 트레이딩이코노믹스
세계에서 가장 높은 성장세를 구가했던 인도 경제가 크게 주춤하고 있다.

인도의 지난 3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에 그쳐 6년 반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의 성장세를 기록했다고 29일(현지시간)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보도했다.

인도의 경기둔화는 멈출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 3분기 GDP 증가율은 전분기의 5.0%에서 떨어져 6분기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지난해 같은 기간 GDP 증가율은 7%였다. 아울러 인도 GDP 증가율은 불과 3년 만에 반 토막이 났다.

제조업 부문은 1% 감소했다. 이는 1년 전 같은 기간 무려 6.9% 증가율을 기록한 것과 대조된다. 농촌 경제성장률은 2.1%로, 1년 전의 5% 안팎의 높은 성장세에서 크게 위축했다. 서비스업과 금융, 부동산 부문도 부진하기는 마찬가지였다.

3분기 GDP 증가율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집권한 이래 가장 낮은 것이다. 모드 총리는 지난 5월 총선에서 압승을 거두면서 재집권에 성공했지만 경기둔화가 심화하면서 어려운 처지에 놓이게 됐다.

닛케이는 인도 경기둔화의 가장 큰 원인으로 농촌에서의 소비 부진을 지목하면서 인구 과반을 차지하는 농업 종사자의 수입이 기후변화로 줄어들어 다른 산업에도 그 악영향이 퍼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농가는 불만의 화살을 모디 정권으로 돌리고 있다. 인도가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협상에서 철수를 시사한 것도 농촌 경제의 부진이 그 원인이라고 신문은 풀이했다.

13억 명이 넘는 인도 전체 인구에서 농촌 인구 비중은 55%에 달한다. 농업 노동력이 제조업으로 이동하는 현상은 아직 일어나지 않아 산업 구조 비율에서 농업은 약 20%로 제조업과 어깨를 나란히 한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2017년 7월~2018년 6월 인도 농촌 소비는 8.8% 줄어 45년 만에 가장 큰 감소폭을 나타냈다.

이상기후에 따른 농산물 수확 감소로 농가의 지갑이 얼어붙고 있다고 신문은 거듭 강조했다. 인도 서부는 9월 말까지 계속된 장마로 양파가 흉작에 빠졌다. 올 여름 생산량은 예년보다 약 30% 적었다. 흉작으로 인도 식탁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인 양파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현지 양파 가격은 5개월 전 kg당 10루피(약 164원)와 비교해 최근 10배 정도 상승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부모-자녀 한 동네 사는 실버타운 만든다더니…오세훈표 '골드빌리지' 무산
  • 오늘은 '소설' 본격적인 겨울 준비 시작…소설 뜻은?
  • 총파업 앞둔 철도노조·지하철노조…오늘도 태업 계속 '열차 지연'
  • 유병재, 열애설 상대는 '러브캐처4' 이유정?…소속사 측 "사생활이라 확인 불가"
  • "아이 계정 삭제됐어요"…인스타그램의 강력 규제, '진짜 목표'는 따로 있다? [이슈크래커]
  • 근무시간에 유튜브 보고 은행가고…직장인 10명 중 6명 '조용한 휴가' 경험 [데이터클립]
  • 고양 소노 감독 폭행 사건…'사상 초유' KBL에 징계 맡겼다
  • '남녀공학 논의 중단' 동덕여대-총학 합의…보상 문제는?
  • 오늘의 상승종목

  • 11.22 09:3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752,000
    • +2.62%
    • 이더리움
    • 4,688,000
    • +7.42%
    • 비트코인 캐시
    • 683,000
    • +7.64%
    • 리플
    • 1,759
    • +11.9%
    • 솔라나
    • 360,800
    • +7.41%
    • 에이다
    • 1,143
    • +0.44%
    • 이오스
    • 930
    • +4.97%
    • 트론
    • 280
    • +1.08%
    • 스텔라루멘
    • 383
    • +11.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95,050
    • -4.47%
    • 체인링크
    • 20,820
    • +2.11%
    • 샌드박스
    • 484
    • +1.8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