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들의 기후변화 대응수준이 평균 이하이며, 선진국에 비해서는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 지속가능경영원은 16일 "국내 매출액 상위 120개 기업을 대상으로 '산업계 기후변화 경쟁력 지수(KCCI)'를 적용해 국내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정도를 처음으로 측정해 본 결과, 100점 만점에 평균점인 50점에도 미치는 못하는 41.9점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KCCI'지수는 ▲기후위험 ▲기후성과 ▲시장기회 ▲정보공개 및 정책협력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조사결과에 따르면 기후변화가 경영에 미치는 영향이나 취약성은 52.8점으로 다른 부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위험을 줄이기 위한 실제적인 노력 및 투자(39.5점), 국내외 시장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새로운 사업 기회로 만들기 위한 전략 수립(44.8점), 기업의 탄소관련정보를 공개하고 정책당국과의 상호 협력(30.2점)부문은 아직까지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업종별로는 자동차가 55.9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반도체(52.9점) ▲석유화학(50.5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의는 "이같은 결과는 일찍부터 미국 및 유럽시장의 무역환경 규제에 대비해온 기업들이 기후변화 경쟁력에서 앞서 있는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국내 기업들이 기후변화라는 새로운 성장패러다임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게 되면 생산비용의 상승, 선진국 시장 진출 제약 등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어렵게 된다. 아울러 물론 국가 경제적 측면에서도 에너지다소비형 산업구조의 재편을 통한 선진 경제로의 진입에 차질을 빚게 된다고 상의는 전했다.
현재 선진국 기업들은 오래전부터 기후변화가 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고 생산 전과정에서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 친환경 기술의 개발과 친환경제품의 생산 등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우리 정부도 기후변화에의 효율적, 능동적 대응이 기업경쟁력 강화와 경제의 지속적 성장에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 '저탄소 녹색성장 시대'를 새로운 성장 전략으로 제시하고 범정부적 대응책을 마련하여 시행중에 있다.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 관계자는 "기업들이 기후변화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단계에서 벗어나 실제 대응을 위한 노력과 투자에 나설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정부정책 또한 기업의 자발적 노력을 유인할 수 있는 동기부여와 지원 대책 마련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상의는 국내기업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제고 및 대응책 마련과 바람직한 정책방향 수립에 도움을 주기 위해 지식경제부 후원 하에 에너지관리공단과 공동으로 지난 4월부터 '산업계 기후변화 경쟁력지수'를 개발해 앞으로 매년 조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