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지난 5년간 대기업보다 전기요금 11조 더 냈다.

입력 2020-10-05 14:5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처=김경만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출처=김경만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최근 5년간 중소기업이 대기업보다 전기요금을 11조 원 더 부담한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용 전기요금 체계를 개편해야 한단 주장이 나온다.

5일 김경만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이 한국전력공사(한전)를 통해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중소기업이 대기업보다 평균 17%(19.89원/kWh) 비싸게 전기요금을 부담해 온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차이는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사용하는 전기 특성에 따라 생긴다. 한전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경우 주로 배전선로(고압A)를 사용한다. 설비구성, 조업조정 제약으로 인해 경부하 대비 중간 및 최대 부하 시간대 전력소비량이 많기 때문이다. 반면 대기업은 구매단가가 낮은 경부하 시간대 전력소비량이 많아 송전선로(고압 BㆍC)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지난 5년간 고압 A를 주로 쓰는 중소기업의 판매단가는 평균 117.28원/kWh로 집계됐다. 반면 고압 B·C를 주로 사용하는 대기업의 판매단가는 평균 97.39원/kWh로 나타났다.

지난 5년간 고압 A와 고압 B·C의 판매단가 차이는 꾸준히 증가하는 모양새다. 2016년 18.08원/kWh이던 격차는 올해 20.97원/kWh로 벌어졌다.

금액으로 환산하면 지난 5년간 한전의 중소기업(고압 A) 판매수입은 66조8632억 원이다. 반면 대기업(고압 B·C)의 단가를 적용했을 시 판매수입은 55조5699억 원으로 11조2933억 원이 벌어진다.

이와 관련해 김경만 의원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에 불공평한 요금체계는 하루빨리 바로잡아야 한다”며 “중소제조업체 90% 이상이 전기요금에 대한 부담을 호소하고 있는 만큼, 현행 산업용 전기요금 체계 형평성 제고와 중소기업의 부담을 덜 수 있는 중소기업전용요금제 도입 또한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지난해 4월 감사원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전기를 많이 쓰는 고압 B·C 사용자 때문에 발생하는 전기 판매손실을 중소규모 전기사용자인 고압 A 사용자에 대한 판매수익으로 보전하고 있단 지적이 나온 바 있다. 이 때문에 형평성이 저해된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또한, 김종갑 한국전력공사 사장은 지난 2018년 국정감사를 통해 “소기업이 대기업보다 산업용은 16% 더 비싸게 쓰고 있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관세전쟁 공포에 코스피도 4%대 폭락…사이드카 발동
  • '흔들리는 제조망' 다시 짜는 글로벌 생산기지 [공급망 전쟁의 서막①]
  • 단독 獨 거대 병원 그룹도 찾았다…삼성전자, '헬스케어' 확장 가속화
  • '고정이하자산' 5조 육박…4곳은 'NPL비율' 70% 넘었다[선 넘은 '신탁사 부실'上]①
  • 21대 대통령 선거일 6월 3일 유력…내일 국무회의서 확정ㆍ공고
  • “가게에 활기 좀 돌았으면”…탄핵 이후 최대 과제는 경기침체 해소 [르포]
  • 관세 전쟁서 자유로운 K조선, 美 협상 카드 급부상
  • 간밤 울산 남구 선암동 화재 발생…1명 사망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7 11:4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7,717,000
    • -4.38%
    • 이더리움
    • 2,366,000
    • -11.32%
    • 비트코인 캐시
    • 410,000
    • -7.6%
    • 리플
    • 2,853
    • -9.63%
    • 솔라나
    • 158,200
    • -10.72%
    • 에이다
    • 858
    • -10.53%
    • 이오스
    • 1,069
    • -3.08%
    • 트론
    • 344
    • -1.43%
    • 스텔라루멘
    • 337
    • -9.6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270
    • -10.81%
    • 체인링크
    • 16,900
    • -10.82%
    • 샌드박스
    • 352
    • -8.5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