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 작업 환경 개선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택배업체들의 분류 작업 자동화 속도는 점차 빨라질 전망이다. 분류 작업은 택배 노동자들이 꼽는 고강도 노동의 대표적인 원인이기 때문이다.
업계 1위인 CJ대한통운은 지난달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하는 자동화 시설 MP(멀티 포인트)를 추가 구축한다고 22일 밝혔다.
MP는 하나의 작업라인으로 운영하던 기존 택배 터미널에 분류 시설을 추가로 설치해 상품 크기에 따라 중대형 상품은 1층, 소형 상품은 2층으로 나눠 동시에 운영하는 형태다. 이를 통해 작업물량 집중도를 분산하고 최종 배송지역 단위까지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른 작업 과정에서도 자동화가 추진 중이다. 올해 6월 산업통상자원부 주관의 로봇산업 핵심기술개발사업 사업자로 선정된 이후, 하차 자동화 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다.
하차 자동화 기술은 로봇이 다양한 형태의 화물을 인식하는 것은 물론 동시에 운반까지 가능한 시스템이다. CJ대한통운 해당 기술을 2024년까지 개발 완료할 예정이다.
CJ대한통운의 TES 물류기술 연구소는 연말까지 사람의 작업을 대신하는 인공지능(AI) 기반의 비정형 물체 피킹기술 등도 함께 개발한다.
한진은 택배 자동분류기 등 첨단설비가 도입된 대전 메가 허브 물류센터를 2023년 초 개장할 예정이다. 기존 터미널을 자동화하기 위한 투자도 꾸준히 진행한다.
롯데글로벌로지스는 롯데정보통신과 협업해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해, 충북 진천에 최첨단 물류터미널을 2022년 구축할 예정이다.
대기업들과 달리 중소업체들은 작업장 자동화에 투입할 자금이 많지 않다. 분류 작업 등 업무 환경 개선을 위해 인력 채용 외에 별다른 대책이 없다.
여기에다가 21대 국회에는 분류 작업에 추가 인원을 투입하는 근거가 될 수 있는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이 발의된 상황이다.
파업을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이 없다는 이유로 택배업체들이 반대하고 있지만, 향후 논의 상황에 따라 법이 통과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추가 인력 고용이 이뤄진다면 택배비는 자연스레 인상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택배비는 건당 2300~2500원 수준이다. 업체 간의 과당 경쟁으로 1990년대 초반(5000원)보다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택배업계 관계자는 “택배 시스템 전반을 고려했을 때 택배비 인상은 추진돼야 한다”라며 “하지만 가격 인상이 현실화될 경우 소비자들의 반발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