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투자증권 “민간소비 회복 등 4분기 한국 GDP 플러스 성장기조 이어갈 듯”

입력 2020-10-28 08:2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유진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은 한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4분기에도 플러스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민간소비 회복 등 추가 성장 동력이 상존한다는 이유에서다.

28일 유진투자증권에 따르면 3분기 한국 GDP 성장률은 전 분기 대비 1.9% 성장해 상반기 역성장 기조에서 벗어난 가운데 10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성장을 기록했다.

이에 이상재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3분기 GDP는 상반기 감소분(20조6000억 원)의 42%를 복구했다”며 “전년 동기 대비로도 3분기 GDP는 1.3% 역성장해 2분기(-2.7%)보다 역성장 폭이 크게 줄어들었다”고 평가했다.

특히 이 연구원은 3분기 GDP 호조가 상당 부분 예견된 결과라고 분석했다. 2분기 GDP 성장률을 4.1%p 끌어내렸던 순수출의 성장기여도가 3.7%포인트로 개선됐기 때문이다.

그는 “수출은 기저효과와 선진국 경제 회복에 힘입어 큰 폭 확대됐지만 수입은 내수 부진에 따라 증가 폭이 상대적으로 작았기 때문"이라며 “여기에 건설투자는 예상외로 급감했지만, 설비투자가 예상보다 큰 폭 확대됐다"고 말했다. 다만 이를 모두 반영한 총고정자본형성이 전 분기 대비 1.9% 감소한 점을 감안하면 경제성장에 중립적”이라고 설명했다.

4분기 성장 폭은 다소 둔화하나 회복세를 이어갈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이 연구원은 “3분기에 부진했던 민간소비가 개선될 가능성이 크다”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강도가 약화된 가운데 긍정적 기저효과와 억압수요가 동반 확대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3분기에 이뤄진 큰 폭의 재고조정이 4분기에는 경제성장 개선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그는 “4분기 GDP가 전 분기 1.2% 성장해 플러스 성장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판단한다”며 “전년 동기 대비로도 4분기에 1.2% 역성장하여 두 분기 연속으로 역성장 폭이 줄어들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4분기 대내외 경제여건의 불확실성이 많다는 점은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이 연구원은 “미국과 유로존의 코로나 19 확산으로 인한 2차 팬데믹 가능성이나 미국 대선 향방의 불확실성 등이 대표적 예다”며 “현시점에서 2021년 경제여건은 더더욱 불확실성이 높지만, 2021년 GDP에 대해 연간 3.0% 성장(종전 2.8%)으로 0.2%포인트 상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관세전쟁 공포에 코스피도 4%대 폭락…사이드카 발동
  • '흔들리는 제조망' 다시 짜는 글로벌 생산기지 [공급망 전쟁의 서막①]
  • 단독 獨 거대 병원 그룹도 찾았다…삼성전자, '헬스케어' 확장 가속화
  • '고정이하자산' 5조 육박…4곳은 'NPL비율' 70% 넘었다[선 넘은 '신탁사 부실'上]①
  • 21대 대통령 선거일 6월 3일 유력…내일 국무회의서 확정ㆍ공고
  • “가게에 활기 좀 돌았으면”…탄핵 이후 최대 과제는 경기침체 해소 [르포]
  • 관세 전쟁서 자유로운 K조선, 美 협상 카드 급부상
  • 간밤 울산 남구 선암동 화재 발생…1명 사망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7 12:2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7,207,000
    • -4.82%
    • 이더리움
    • 2,347,000
    • -11.97%
    • 비트코인 캐시
    • 405,500
    • -7.36%
    • 리플
    • 2,800
    • -11.17%
    • 솔라나
    • 157,800
    • -11.05%
    • 에이다
    • 848
    • -11.3%
    • 이오스
    • 1,073
    • -2.81%
    • 트론
    • 341
    • -2.57%
    • 스텔라루멘
    • 328
    • -11.83%
    • 비트코인에스브이
    • 39,800
    • -11.95%
    • 체인링크
    • 16,680
    • -11.46%
    • 샌드박스
    • 348
    • -9.3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