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지’(冬至)는 1년 중 밤의 길이가 가장 긴 날이다. 24절기 중 22번째 절기로 대개 양력 12월 22일이나 23일 무렵 동지가 든다. 다른 절기는 음력으로 정해지는 것과 달리 동지와 춘분은 양력으로 정해진다.
또한, 우리 민족은 태양력인 동지에 태음력을 잇대어 동지가 음력 동짓달 초순에 들면 ‘애동지’, 중순에 들면 ‘중동지’(中冬至), 그믐 무렵에 들면 ‘노동지’(老冬至)라고 불렀다.
동지가 지나면 낮의 길이가 서서히 길어지기 시작한다. 민간에서는 동지를 ‘아세’(亞歲) 또는 ‘작은 설’이라고 부르기도 했는데, 태양이 부활한다고 여겨 설 다음가는 작은 설로 대접한 것이다.
중국 주나라에서는 동짓날에 생명력과 광명이 부활한다고 생각해 설로 지냈다. 당나라 역법서(曆法書)인 선명력(宣明曆)에도 동지를 역(曆)의 시작으로 봤다. 유교의 기본 경전 중 하나인 역경(易經)에서도 복괘(復卦)에 해당하는 11월을 자월(子月)이라 해서 동짓달을 1년의 시작으로 삼았다.
우리나라는 고려 충선왕이 1309년 원나라의 수시력(授時曆)을 가져오기 전까지 당나라의 선명력(宣明曆)을 사용해 동지를 설로 지냈을 것으로 추정한다.
예부터 동짓날이 되면 백성들은 모든 빚을 청산하고 새로운 기분으로 하루를 즐겼다. 이웃 간의 어려운 일은 서로 마음을 열고 해결했는데, 오늘날 연말이면 불우이웃 돕기를 펼치는 것도 동짓날의 전통이 이어 내려온 것으로 보인다.
궁중에서는 동지를 가장 으뜸 되는 축일로 생각해 동짓날 군신들과 왕세자가 모여 회례연(會禮宴)을 열었다. 해마다 중국에 예물을 갖춘 동지사(冬至使)를 파견했고, 지방의 관원들은 임금에게 전문을 올려 축하했다.
동지의 세시풍속으로는 ‘새알심’이라 불리는 찹쌀 단자를 넣고 팥죽을 끓였다.
완성된 팥죽은 먼저 사당에 올려 동지고사(冬至告祀)를 지내고 각 방과 장독·헛간에 두고 기둥·벽·대문에 뿌렸다. 이것은 팥의 붉은색이 양색(陽色)이므로 나쁜 기운(厄)을 물리치고 전염병을 예방한다는 토속신앙에서 유래했다. 팥죽을 사람이 드나드는 대문이나 문 근처의 벽에 뿌리는 것 역시 악귀를 쫓는 주술 행위다. 가족원들은 새해의 나이 수대로 새알심을 먹고 이웃집과 나눠 먹었다.
우리 조상들은 경사스러운 일이나 재앙이 있을 때 팥죽, 팥밥, 팥떡을 해서 먹는 풍습이 있었다. 전염병이 유행할 때 우물에 팥을 넣으면 물이 맑아지고 질병이 없어진다고 믿었다. 또한, 이웃이 상(喪)을 당하면 팥죽을 쑤어 부조하기도 했는데 이는 상가에서 악귀를 쫓기 위한 것이었다.
최근에도 이런 풍습이 이어져 팥떡으로 고사를 지낸다. 고사의 목적은 사업이 번창하고, 공사를 진행할 땐 사고가 없기를 기원하는 것이다.
그러나 동짓날이라도 올해와 같이 음력 11월 10일 안에 들면 ‘애동지’라고 부르며 아이들에게 좋지 않다고 여겨 팥죽을 쑤지 않는다. 또 집안에 열병이나 괴질로 죽은 사람이 있어도 팥죽을 쑤어먹지 않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