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의 진전과 디지털 전환(DT)의 가속으로 데이터 산업의 폭발적인 성장이 전망되면서 하이퍼 스케일 데이터센터(DC) 구축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하이퍼 스케일 데이터센터는 통상 10만 대 이상 서버를 구축·운영하고 있는 데이터센터를 지칭한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3일 한국이 저렴한 전기료, 우수한 IT 인프라 등으로 데이터센터 구축에 장점을 갖추고 있다며, 성장하고 있는 이 시장에서 새로운 사업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 정부와 기업의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데이터 생산과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방대한 데이터를 24시간 안정적으로 관리·운영·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센터의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데이터 생산량(Gross Data Product) 기준으로 한국은 ‘글로벌 5강’에 속한다. 미국 터프츠대학 연구팀에 따르면, 한국은 전 세계에서 미국, 영국, 중국, 스위스에 이어 다섯 번째로 데이터생산량이 높은 국가다.
총 데이터 생산량은 △데이터 생산량 △인터넷 이용자 수 △데이터 접근 용이성 △1인당 데이터 소비량 등 4가지로 평가되는데, 미국은 데이터 생산량, 영국은 데이터 접근성, 중국은 인터넷 이용자 점수가 높았으며, 한국은 데이터 접근이 상대적으로 쉬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성장세에 국내에서도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국내 데이터센터는 2000년 53개에서 지난해 158개로 매년 5.9% 성장하고 있다. 같은 기간 상업용 데이터센터는 연평균 7.4% 증가해 43개가 구축·운영되고 있다. 올해부터 2023년까지 상업용 데이터센터는 12개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클라우드 서비스가 증가하면서 전 세계에 하이퍼 스케일 데이터센터 구축도 확산되고 있다. 하이퍼 스케일 데이터센터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 있어 높은 수준의 성능과 처리량을 지원한다. 또한,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원가절감이 가능해서 글로벌 IT 기업들은 하이퍼 스케일 데이터센터의 확장과 투자에 집중하고 있다.
시너지리서치그룹에 따르면 7월 기준 글로벌 하이퍼 스케일 데이터센터는 541개로, 미국(38%), 중국(9%), 일본(6%)이 시장을 이끌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선 하이퍼 스케일 데이터센터 구축은 갓 첫발을 뗀 상태다. 지난달 KT는 서버 10만 대를 수용할 수 있는 센터를 처음 개소했을 뿐 우리나라의 데이터센터는 대부분 중대형급 이하다.
국내 기업들도 하이퍼 스케일 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지역주민과 환경단체가 전자파와 오염수에 대한 우려로 데이터센터를 혐오시설로 인식하면서 구축이 늦어지고 있다. 네이버의 경우 2017년 용인 데이터센터 건립을 발표했지만, 주민 반대로 포기하고 올해 10월에서야 세종시에 부지 조성 작업에 착수했다.
전경련은 한국이 데이터센터의 허브가 되기 위해선 정책적, 인프라적, 입지적 요인을 갖춰 데이터센터 허브의 주요 판단 기준이 되는 데이터센터의 총 용량 규모를 키워야 한다고 제언했다.
정부는 2011년 한국을 동북아 데이터센터 허브로 육성하기 위해 ‘글로벌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단지’ 시범사업을 시작했으나, 시장조사업체 CBRE에 따르면 지난해 아태지역 상위 데이터센터 도시는 시드니, 싱가포르, 홍콩, 도쿄로 나타났다.
전경련은 또한 정책·인프라·입지 요인과 함께 데이터센터 육성을 위해서는 민간 자율성을 최대한 존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0대 국회에서 무산된 ‘방송통신발전기본법’ 개정안이 다시 입법 추진이 이뤄질 것으로 보이자, 민간 자율성을 광범위하게 침해해 데이터센터 산업발전을 저해할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당시 개정안은 자연재해 등 비상사태에 대비해 민간 데이터센터를 방송·통신시설처럼 국가재난관리시설로 지정하고, 정부가 감독조사권을 갖고 안전하게 관리하겠다는 내용이었지만, 지나친 자료제출 요구 등에 따른 업계 자율성 및 영업비밀 침해 우려, 중복규제 논란 등으로 국회를 통과하지 못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데이터센터와 같이 새로운 산업일수록 ‘네거티브 규제’ 또는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기업들이 마음껏 뛰어놀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며 “데이터센터 육성을 위해 정부는 민간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해야 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