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에 대한 지난 9월 위기설 해프닝에 이어 현재 일각에서 내년 3월 위기설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와 청와대가 '사실 무근'이라고 일축하고 나섰다.
3월 위기설의 요지는 내년 3월 결산을 맞은 외국은행들이 결산을 위해 한국에 투자했던 자금을 일시에 회수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축으로 하고 있다. 특히 OECD, IMF 뿐만 아니라 각 경제 연구기관들이 내년 상반기를 한국경제의 최저점으로 보고 있는 가운데 3월 위기설은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한국보다도 더욱 극심한 경제 침체를 겪는 일본계 은행들이 회수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또한 국내은행들의 3월까지 만기도래 외채가 30억달러가 넘는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이 위기설은 힘을 얻고 있다.
이에 대해 김은혜 청와대 부대변인은 4일 정례 브리핑을 통해 "3월 위기설이 나돌고 있는데 9월 위기설도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난 것과 마찬가지로 사실이 아니다"고 일축했다.
김 부대변인은 "국민들이 불안해 하는 심리를 틈타 근거없이 위기를 조장하고 이에 무책임하게 편승하는 것은 국익을 해치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파악해 본 결과, 내년 1분기중 만기가 도래하는 일본계 외채규모는 10억 달러에 불과하다"며 "이 수치만 봐도 3월 위기설이 얼마나 과장됐는지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3일 기재부 김동수 제1차관도 CBS에 출연해 "국제금융 상황과 공조 노력에 상당한 영향을 받겠지만 우리가 진행중인 여러가지 정책적인 노력들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3월 위기설' 같은 것은 그렇게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또한 김 차관은 "세계 경기 흐름에 따라 다소 가변적이긴 하지만 국제 효과 등 조금씩 가시적인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1년 후에는 우리나라가 경기침체에서 벗어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국제 금융시장 불안이 지속되는 한 '위기설'들이 또 다시 고개를 들 수 있다는 점이다. 국제 금융시장도 안정을 찾을 때까지 정부가 국내 불안 요인을 없애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