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백화점, 서울에서 가장 큰 백화점 출점…‘판교 이상의 모멘텀’- IBK투자증권

입력 2021-02-24 08:4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 최대 규모로 26일 오픈하는 ‘더현대 서울’ 전경 (출처=더현대 서울)
▲서울 최대 규모로 26일 오픈하는 ‘더현대 서울’ 전경 (출처=더현대 서울)

IBK투자증권은 24일 현대백화점에 대한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가는 10만 원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서울점(여의도점) 출점이 주가 상승의 모멘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현대백화점은 더현대 서울점 출점을 통해 백화점 16개, 아울렛 7개, 면세점 3개로 총 26개 점포를 보유하게 된다. 서울점은 서울 최대 규모인 영업면적 2만7000평의 백화점이다.

안지영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서울점의 2021년 총매출액은 가이던스는 6300~6500억 원이며 영업적자는 100~200억 원이 추정된다”면서 “이익분기점(BEP)은 3년차로 전망되며 보수적인 관점에서도 5년 차 총매출액 1조 원 시현이 가능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번 서울점 출점은 2016년 출점한 판교점 이상의 모멘텀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판교점의 지난해 매출액은 1조74억 원으로 매출 규모 1위를 기록한 점포다.

안 연구원은 “여의도는 서울 3대 상권으로 1일 유동인구 30만 명, 3키로미터(Km) 내에 144만 명 거주, 5Km내에 5개 뉴타운 개발로 기존 3만 가구에서 5만9000가구로의 확장성을 고려한다면 판교 이상의 모멘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올해 1월 백화점은 리빙 가전이 52%, 명품이 23% 성장했고, 패션은 -15% 수준으로 12월 대비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안 연구원은 “이번주 서울점 출점, 면세점 내 거래선 확보를 위한 마케팅 경쟁 심화 등에 근거할 때 1분기에도 판관비 부담은 지속될 전망”이라면서도 “자사주 23만4000주(186억 원) 취득을 통한 주주가치 제고 정책을 이어갈 전망이고, 인천공항 관련 손상차손도 향후 5년에 대한 전망치를 선제적으로 반영한 점은 긍정적이다”고 판단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중 관세 125%·나머지는 유예”…트럼프 상호관세 美·中 2파전 재편
  • 단독 NH농협ㆍ부산銀, 연내 ‘외국인 특화 창구’ 신설 [블루오션 외국인금융]
  • [종합] 헌재 “박성재, 내란 가담 증거 없다”…탄핵소추 전원일치 기각
  • 주식왕은 누구?…‘1조 클럽’ 총수들의 주식 성적표 [그래픽 스토리]
  • “술 먹기 좋지만 씁쓸하네”…물가상승·불황에 술값 경쟁 나선 자영업자들 [이슈크래커]
  • 트럼프 '관세 유예'에 美 증시 폭등했지만…씁쓸한 '뒷맛'? [이슈크래커]
  • 이낙연 등판 임박?…출마 시점은 [종합]
  • “야구 유니폼 못 구했다면 이곳으로”…외국인도 찾는 KBO스토어 논현점 [가보니]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0,867,000
    • +4.73%
    • 이더리움
    • 2,356,000
    • +7.14%
    • 비트코인 캐시
    • 436,400
    • +7.36%
    • 리플
    • 2,962
    • +9.7%
    • 솔라나
    • 168,000
    • +6.87%
    • 에이다
    • 918
    • +8.38%
    • 이오스
    • 974
    • -2.99%
    • 트론
    • 356
    • +3.79%
    • 스텔라루멘
    • 346
    • +5.4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250
    • +5.47%
    • 체인링크
    • 18,280
    • +8.17%
    • 샌드박스
    • 376
    • +5.0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