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스마트폰 앱으로 양자암호통신 구현 성공

입력 2021-04-20 09:0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금융, 커넥티드카 등 5G 응용서비스에 확대 추진

▲대전 KT대덕제2연구센터에서 연구원들이 ‘양자 하이브리드 기술’을 시연하고 있다. (사진제공=KT)
▲대전 KT대덕제2연구센터에서 연구원들이 ‘양자 하이브리드 기술’을 시연하고 있다. (사진제공=KT)

KT가 스마트폰 앱으로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양자 하이브리드’ 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기존에는 양자난수생성칩셋(QRNG)을 탑재한 양자보안 단말이나 별도의 양자통신단말이 있어야만 양자보안통신을 사용할 수 있었다. KT가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적용하면 전용 단말을 추가로 구입할 필요가 없어 비용과 관리 측면에서 효율성이 높다.

‘양자 하이브리드 기술’은 ‘QS-VPN’ 앱 설치 한 번으로 사용 중인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양자키 분배(Quantum Key Distribution, QKD) 기술과 양자암호내성알고리즘(Post Quantum Cryptography, PQC)를 결합해 5G 가상 네트워크(VPN)의 해킹 위협을 원천 봉쇄한다.

‘QS-VPN’ 앱을 실행하면 ‘양자 하이브리드 기술’을 바탕으로 네트워크 전 구간(E2E, End-to-End)에서 안전한 양자암호통신 환경이 구현된다. QKD는 해킹이 불가능한 양자의 물리적인 특성을 이용해 양자 암호키를 만든다. 이를 광역 통신망(WAN) 구축 환경에서 분배한다. QKD가 생성한 암호키는 양자 암호키 관리 시스템(Quantum Key Management System, QKMS)에 저장된다.

KT는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의 양자암호내성알고리즘 표준 규격으로 PQC를 적용해 안전성을 강화했다. PQC는 네트워크 구간에서 양자컴퓨터를 이용한 모든 공격에 대해 안전한 내성을 갖는 암호기술을 제공하는 알고리즘이다.

KT는 블록체인에 기반을 둔 분산형 신원확인 기술(Decentralized Identifier, 이하 DID)과 PQC 인증 절차를 합쳐 제3인증 기관 연계 없이 사용자 인증의 보안성을 강화했다. DID 기술로 개인 정보 유출 위험을 방지하고, 사용자 신원과 단말 접근 권한을 식별한다.

앞으로 KT는 금융, 커넥티드카 등 보안이 중요한 5G 응용서비스에 이 기술을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이종식 KT 인프라연구소장 상무는 “이번 ‘양자 하이브리드’ 기술 개발을 계기로 디지털 전환(DX) 시대에 고객이 안심하며 사용할 수 있는 양자보안 플랫폼을 지속 연구하고 상용화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한은 금통위, 2회 연속 인하·부총재 소수의견·1%대 성장 전망 ‘이변 속출’ [종합]
  • ‘900원 vs 150만 원’…군인 월급 격세지감 [그래픽 스토리]
  • ‘고강도 쇄신’ 롯데그룹, CEO 21명 교체…신유열 전무 부사장 승진 [2025 롯데 인사]
  • "출근해야 하는데" 발만 동동…일단락된 '11월 폭설', 끝이 아니다? [이슈크래커]
  • 원·달러 환율, 기준금리 ‘깜짝 인하’에도 오히려 하락
  • 단독 론칭 1년 만에 거래액 1억弗 달성 ‘트롤리고’…내년부터 원화 결제 추진
  • '리플 커플링' 스텔라루멘, 2주간 280% 상승…전고점 뚫나
  • 정몽규, 축구협회장 4선 노린다…허정무와 경선
  • 오늘의 상승종목

  • 11.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709,000
    • +2.87%
    • 이더리움
    • 5,072,000
    • +5.25%
    • 비트코인 캐시
    • 712,000
    • +1.57%
    • 리플
    • 2,045
    • +2.92%
    • 솔라나
    • 331,500
    • +1.38%
    • 에이다
    • 1,397
    • -0.14%
    • 이오스
    • 1,121
    • -0.27%
    • 트론
    • 281
    • +1.08%
    • 스텔라루멘
    • 675
    • -2.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98,650
    • +6.25%
    • 체인링크
    • 25,200
    • +0.12%
    • 샌드박스
    • 833
    • -1.7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