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시 도지파더”…도지코인, 머스크 트윗 한 줄에 20% 뛰었다

입력 2021-04-29 08:2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머스크, “도지파더 SNL 5월 8일” 트윗
NBA 구단주 마크 큐번도 조력자로 나서

▲도지 코인 로고 앞에 암호화폐를 나타내는 상징물이 보인다. 로이터연합뉴스
▲도지 코인 로고 앞에 암호화폐를 나타내는 상징물이 보인다. 로이터연합뉴스
가상화폐 도지코인이 트위터에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등 유명인들의 지지를 받으면서 급등했다.

28일(현지시간) 미국 경제매체 CNBC 방송에 따르면 도지코인 가격은 전날 밤 머스크 CEO가 도지코인을 지지하는 듯한 트윗을 올린 뒤 24시간 전보다 20% 급등하면서 0.32달러를 나타냈다.

머스크 CEO의 트윗은 “도지파더 SNL 5월 8일”이라는 짤막한 한 줄이었다. 이는 그가 단순히 농담이라고 주장하는, 도지코인에 대한 그의 빈번한 트윗과 다음 주 예정된 자신의 미국 NBC 방송의 인기 코미디 프로그램 새터데잇나잇 라이브(SNL) 출연에 대한 언급이다. 머스크 CEO는 내달 8일 이 방송에 진행자로 출연할 예정이다.

도지코인의 조력자로 나선 것은 머스크 CEO뿐만이 아니었다. 미국프로농구(NBA) 댈러스 매버릭스의 구단주 마크 큐번은 지난 26일 자신의 NBA 팀이 이번 달 6000건의 도지코인 거래를 완료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왜 도지코인을 지원하느냐’는 물음에 “도지코인은 사람들이 실제로 거래를 위해 사용하는 하나의 동전”이라며 “사람들은 도지코인을 쓰고, 이것은 더 많은 기업이 도지코인을 받기 시작할 것이라는 걸 의미한다”고 말했다.

큐번 CEO는 오래전부터 도지코인의 오락성과 교육적 가치를 칭찬해 왔으며, 지난 3월에는 매버릭스 팬들이 도지코인으로 경기 티켓이나 굿즈를 살 수 있다고 밝혔다. 전날에도 그는 미국 NBC방송의 유명 토크쇼에 나와 “누군가가 도지코인을 가져와 좋은 투자처냐고 묻는다면 세계에서 최고의 투자는 아니지만, 로터리 티켓(복권)보다는 훨씬 낫다고 할 것”이라며 “암호자산에 대해 알아보고 이해하기 위한 좋은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투자 확대 10곳 중 1곳 뿐⋯'경제 한파' 이미 시작됐다 [차기정부 기업과제 설문]
  • 타스만·무쏘EV 출격에 ‘픽업트럭 전성기’ 열렸다 [ET의 모빌리티]
  • “출근길 67점, 퇴근 후 39점”…얼굴로 본 스트레스 보고서 ‘마음첵’ [써보니]
  • 은행 예금 ‘식고’ 저축은행 ‘후끈’…예테크족 시선 집중
  • 삼성전자, 獨 HVAC 기업 '플렉트' 인수 추진
  • 글로벌 항노화 전쟁 시작…국내 기업도 ‘노화 치료제’ 개발 본격화 [돈이 되는 항노화②]
  • '고양이 그림자 사진 챌린지' SNS 피드 점령…만드는 방법은?
  • 이투데이, ‘K-제약바이오포럼 2025’ 개최…초고령사회 해법 찾는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4 09:3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116,000
    • +1.29%
    • 이더리움
    • 3,783,000
    • +8.8%
    • 비트코인 캐시
    • 579,000
    • +0.78%
    • 리플
    • 3,619
    • +2.46%
    • 솔라나
    • 256,800
    • +5.51%
    • 에이다
    • 1,164
    • +2.28%
    • 이오스
    • 1,249
    • +1.88%
    • 트론
    • 380
    • +0%
    • 스텔라루멘
    • 441
    • +1.3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200
    • +1.33%
    • 체인링크
    • 24,410
    • +4.49%
    • 샌드박스
    • 527
    • +5.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