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우조선해양이 세계 유수의 기관들과 ‘산ㆍ학ㆍ연’ 기술 협의체를 결성하고 조선해양산업 관련 기술력 확보를 위한 글로벌 초협력에 나선다.
대우조선해양은 친환경 및 스마트십 기술 관련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내외 주요 산업계, 대학 및 연구소와 ‘친환경 스마트 선박 유체기술 글로벌 연구ㆍ개발(R&D) 네트워크(가칭)’를 구성해 협력 연구 활동에 첫발을 내디딘다고 22일 밝혔다.
대우조선해양이 주도하는 이번 협의체는 △대학 : MIT(미국), 서울대학교(한국), 미시간대학교(미국), 스트라스클라이드대학교(영국) △선급 : ABS(미국), LR(영국), BV(프랑스), KR(한국), DNV(노르웨이) △연구기관 : SINTEF Ocean(노르웨이), SSPA(스웨덴), CNR(이탈리아), KRISO(한국), HSVA(독일) 등 국제적 명성을 가진 총 15개 기관으로 구성된 ‘글로벌 R&D 동맹’이다.
이 협의체는 조선해양산업 관련 환경 규제와 자율운항선과 같은 최신기술, 특히 유체역학 분야의 핵심기술들에 대해 공동 대응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협력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관련 분야의 글로벌 기술 선도를 목표로 한다.
관련 뉴스
이들은 △웨비나 등의 정기 세미나 △최신 연구 동향 공유 △공동 연구과제 협력 △산업 및 정부 차원 연구사업 참여 △국제 규정 공동 대응 △공통 모델 실험 협력 △연구인력 교류 △공동 학술 활동 등 다양한 연구개발에 착수한다.
이번 결성은 세계 최고 수준의 국내외 주요 기관과 대학이 기술개발에 공동으로 대응하고 그 성과를 공유함에 따라 명실상부 세계 최고 위상의 한국 조선산업에 걸맞은 ‘글로벌 R&D 초협력 모델’의 대표적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평가다.
대우조선해양 중앙연구원장 최동규 전무는 “이번 국제적 공동 연구로 ‘기술 DSME’의 위상을 다시 한번 세계 시장에 알리는 기회로 활용하겠다”며, “동시에 조선해양산업의 글로벌 리더로서 경쟁국과의 초격차를 유지하는데 기여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