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민 88% 지원금 비판한 이재명 겨냥 “거짓 선동”

입력 2021-07-25 13:2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조계종 전 총무원장 월주(月珠)스님이 열반한 22일 더불어민주당 대권주자인 정세균 후보가 분향한 뒤 취재진과 인터뷰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계종 전 총무원장 월주(月珠)스님이 열반한 22일 더불어민주당 대권주자인 정세균 후보가 분향한 뒤 취재진과 인터뷰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대권 주자인 정세균 전 국무총리가 이재명 경기지사를 겨냥해 "결코 거짓 선동으로는 국가를 이끌어 갈 수 없다"고 일갈했다.

이는 이재명 지사가 지난 23일 국회가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재난지원금 지급 기준을 소득 상위 12%를 제외한 88% 수준에서 확정한 데에 대해 "세금 많이 낸 게 무슨 죄라고 굳이 골라 빼느냐"고 비판한 데 따른 것이다.

이와 관련, 정 전 총리는 25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이 지사는 평소 억강부약(강자의 욕망을 절제시키고 약자의 삶을 보듬는다)을 말했는데, 약자들에게 두툼하게 지급돼야 할 세금을 빼앗아 피해도 없고 어렵지도 않은 부자들에게까지 지급해야 한다는 말은 평소 지론과 상충된 모순"이라고 지적했다.

정세균 전 총리는 "이번 지급 결정에 대해 이 지사는 '부자들이 세금 많이 낸 게 무슨 죄라고 지급대상에서 빼냐?'고 말씀하신다"며 "정부와 국회가 어렵게 합의된 결정이니 우선 존중하는 것이 공인으로서 자세일 것"이라고 적었다.

그러면서 "국가가 부자와 빈자를 편 갈라서는 안 되지만 그렇다고 구조적인 격차와 불평등을 도외시해서는 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또 "문제점이 노출되자 공약이 아니라고 잠재우던 '기본소득' 공약을 재난지원금으로 다시 살려보려는 의도로 읽혀 보기에 퍽 민망하다"고 언급했다.

이어 "이 지사는 기본소득 목적세를 신설하면 국민 80%∼90%는 내는 세금보다 받는 기본소득이 많다고 했는데, 10%∼20%의 국민은 무슨 죄를 지었다고 안 내던 세금을 내야 하느냐"고 반문했다. 이어 "이야말로 조삼모사, 국민을 기만하는 일"이라며 "국가를 운영하겠다는 분이 국민을 속이려 든다"고 비판했다.

정세균 전 총리는 "노무현 전 대통령은 '진실한 것 이상 더 훌륭한 전략은 없다'고 했다. 정직하게 경쟁하자"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당신의 쓰레기봉투가 파헤쳐진다…과태료 파파라치 괴담, 진짜일까? [해시태그]
  • 대기업 회장님도 유느님도 탔던 '제네시스'…럭셔리 국산차의 산 증인 [셀럽의카]
  • 환율ㆍ원자재까지 온통 잿빛 전장…산업계 ‘시계제로’
  • “이젠 모르겠다” 월가, 트럼프발 증시 급등락에 한숨
  • 저축은행 파킹통장 금리 매력 ‘시들’…연 3%대 사라졌다
  • ‘폭싹 속았수다’로 왕좌 굳힌 넷플릭스…쿠팡·티빙은 2위 쟁탈전
  • 트럼프, 중국에 ‘145%’ 관세…시진핑은 동남아 3국으로 ‘우방 결속’
  • 대만 간 이주은 치어리더, LG 트윈스 유니폼 입는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771,000
    • +2.84%
    • 이더리움
    • 2,282,000
    • +0.62%
    • 비트코인 캐시
    • 452,800
    • +4.65%
    • 리플
    • 2,965
    • +0.92%
    • 솔라나
    • 176,500
    • +5.69%
    • 에이다
    • 914
    • +1.78%
    • 이오스
    • 897
    • -2.71%
    • 트론
    • 352
    • +0.28%
    • 스텔라루멘
    • 343
    • +0.5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810
    • +2.4%
    • 체인링크
    • 18,560
    • +3.46%
    • 샌드박스
    • 380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