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셀, 작년 4분기 영업익 1483% 치솟은 210억…창사 최대 실적

입력 2022-02-10 15:4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GC셀은 지난해 4분기 매출 736억 원과 영업이익 210억 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고 10일 밝혔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78%, 1483% 증가한 수치다. 당기순이익도 2352% 증가한 160억 원을 기록했다.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검체검사사업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179% 늘었고, 바이오물류 사업도 25% 증가했다. 또한 합병 후 세포치료제 및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 등이 신규사업으로 일부 포함됐고, NK세포치료제 관련 기술이전 마일스톤 매출이 본격화되며 매출성장을 이끌었다.

합병을 통해 신규사업으로 포함된 ‘이뮨셀엘씨’는 2007년 품목허가 이후 현재까지 7800명 이상 환자에게 투여됐으며 최근 5개년 연평균 성장률(CAGR)은 20%로 지속 성장 중이다. GC셀은 세포치료제 및 CDMO 사업은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매출에 반영될 예정이며, GC셀의 새로운 '캐시카우'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합병 이후 경영 효율성 극대화 및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며 제조원가 등 일부 고정비용이 감소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 연구ㆍ개발(R&D) 영역에서도 NKㆍTㆍ줄기세포를 기반으로 연구개발 및 플랫폼 기술수출 등 합병시너지를 극대화하고 있다. 이미 국내에서 유일하게 NK와 T세포 파이프라인을 모두 보유한 기업으로, 다국적 제약사에 기술수출을 성공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세포치료제 CDMO사업도 더욱 성장시킬 계획이다.

GC셀의 작년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97% 증가한 1683억 원, 영업이익은 465% 증가한 363억원, 당기순이익은 634% 증가한 301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박대우 GC셀 대표는 “이번 창사 이래 최대 경영실적은 합병 후 첫 성과로, 향후 발생될 시너지를 가늠할 수 있는 시금석”이라며 “올해는 합병 시너지 극대화를 통해 아티바 등 글로벌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진행하고, 추가적인 플랫폼 기술 확보를 통해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씨셀은 최근 GC녹십자랩셀과 GC녹십자셀이 합병해 탄생한 통합법인으로, 면역세포와 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제 개발 및 생산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자가(Autologous) 및 동종(Allogeneic) 세포치료제의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관세전쟁에 내수부진 장기화까지...韓경제 짓누른 'R의 공포'
  • 대법, ‘이재명 사건’ 직접 결론낼까…최근 파기자판율 0% 가까워
  • 금요일 조기 퇴근, 진짜 가능할까? [이슈크래커]
  • 미국 경영진 체감경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악…줄줄이 전망 하향 조정
  • "마라톤 뛰러 미국 간다"…러너들이 가장 가고 싶어하는 해외 마라톤 대회는 [데이터클립]
  • “군 간부입니다” 믿었다가…진화된 ‘조직적 노쇼’에 당했다 [해시태그]
  • 국민의힘 4강 ‘토론 대진표' 확정...한동훈-홍준표 3시간 끝장 토론
  • ‘입시비리’ 조민, 2심도 벌금 1000만 원...법원 “원심판단 정당”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447,000
    • +4.61%
    • 이더리움
    • 2,595,000
    • +10.28%
    • 비트코인 캐시
    • 516,000
    • +2.89%
    • 리플
    • 3,268
    • +7.75%
    • 솔라나
    • 218,700
    • +7.05%
    • 에이다
    • 1,014
    • +9.39%
    • 이오스
    • 969
    • +5.33%
    • 트론
    • 353
    • +0.28%
    • 스텔라루멘
    • 392
    • +8.5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130
    • +4.35%
    • 체인링크
    • 21,660
    • +10.96%
    • 샌드박스
    • 432
    • +7.2%
* 24시간 변동률 기준